All Issue

2021 Vol.29,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39-52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ribut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global era, and then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To approach this purpose the author analyzed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based on six key indicators of democratic citizenship and detailed competencies, including competencies that are additionally required in the global er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f geography curriculum can make a relatively greater contribution to the indicators of ‘cultural diversity and coexistence’ and ‘sustainability and co-prosperity’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hip. Major find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geography curriculum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the geography curriculum to be practically improved for the foster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democratic citizenship indicators and competencies must be explicitly reflected i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two goals should be achieved together by connecting the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that match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Third, continuous improvement should be made based on the inspection and confirm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the foster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competency.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시민 사회가 대두됨에 따라 21세기 학생들에게 요구되는 민주시민성의 함양을 위해, 지리교육과정이 어떠한 기여를 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글로벌 시대에 추가적으로 요구되는 역량을 포함한 민주시민성 6대 지표와 세부 역량을 준거로 초・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지리 학습 내용은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해 ‘문화다양성과 공존’ 및 ‘지속가능성과 상생’ 지표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더 크게 기여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6대 지표별로 관련 성취기준의 분포 편차가 큰 것으로 드러나 균형 있는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이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시민 사회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리교육과정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지리교육과정이 민주시민성 함양을 위해 실질적으로 개선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총론에 민주시민성 지표 및 역량이 명시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지리교육과정의 내용 특성을 토대로 그 위상과 역할에 맞는 민주시민성 역량을 성취기준과 접목하여 기존의 지리 학습 목표와 더불어 민주시민성 역량 함양 목표를 병행할 수 있도록 보완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셋째, 민주시민성 역량 함양 관련 성취기준에 대한 점검과 확인을 토대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2. 교육부, 2018, 민주시민교육 활성화를 위한 종합계획. 교육부 보도자료(2018.12.13.).
  3. 신두철, 2019, "학교 민주시민교육 생태계 조성과 정책방향",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15.
  4. 은지용・이간용・최병택・한춘희, 2015,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의 기본 방향과 주요 특징 및 변화 양상", 사회과교육, 54(4), 65-83.
  5. 장의선・김기철・박진용・박태준・이인태・강대현, 2020, 학교 수준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20-3.
  6. 장의선, 2021, "미래형 교육을 위한 민주시민성의 주요 지표와 세부 역량", 기전문화연구, 42(1), 147-172.
  7. 정원규・김형철・박인혜・설규주・오재길, 2019,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기본개념 및 추진원칙 연구, 성공회대학교 민주주의 연구소.
  8. 조철기, 2016, "새로운 시민성의 공간 등장: 국가 시민성에서 문화적 시민성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714-729.
  9. Hoskins, B., Saisana, M., and Villalba, C. M., 2015, Civic competence of youth in Europe: Measuring cross national variation through the creation of a composite indicator,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2), 431-457. 10.1007/s11205-014-0746-z 26300580 PMC4541712
  10. Peters, Michael A., 2008, Citizenship in the Age of Globalization, global-e Twenty-first Century Global Dynamics, Friday, February 15, 2008. (https://www.21global.ucsb.edu/global-e/feb ruary-2008/citizenship-age-globalization). (최종검색일: 2020. 1. 15.)
  11. Schulz, W., Ainley, J., Fraillon, J., Losito, B., and Agrusti. g., 2016, IEA international civic and citizenship education study 2016. Assessment Framework. Cham, Switzerland: Springer. (안선영 역(2017). IEA ICCS 2016 조사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0.1007/978-3-319-39357-5
  12. Tonge, J., Mycock, A., and Jeffery, B., 2012, Does Citizenship Education Make Young People Better-Engaged Citizens?, POLITICAL STUDIES, 60(3), 578-602. 10.1111/j.1467-9248.2011.00931.x
  13. UNESCO, EU and the Council of Europe, 2018,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and inclusive social development, Background Paper 2, Europe and North America Education 2030 consultation, Strasbourg, 24 October 2018.
  14. What is EDC/HRE: https://www.coe.int/en/web/edc/what- is-edc/hre (검색일: 2020.1.15.)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9
  • No :3
  • Pages :39-52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