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Research Articl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cent Changes in the Australian HASS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오스트레일리아 HASS 초등지리 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특성 및 함의

    Khan Yong Lee · Mi yeon Lim

    이간용 · 임미연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cent changes in Australia’s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S F-6), especially the geography curriculum. …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등사회과(HASS F-6), 특히 지리 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특성 및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최근(2022)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육과정은 …

    + READ M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recent changes in Australia’s elementary social studies curriculum (HASS F-6), especially the geography curriculum. Recently (2022), Australia’s national curriculum and social studies curriculum showed changes in aims, names of strands and sub-strands, and concepts of disciplinary thinking and interdisciplinary thinking. In particular, the emphasis on disciplinary knowledge and thinking concepts, and the refining and elaboration of the content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notable features. In the case of the elementary geography curriculum, the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skills’ strands serve as the basic framework and central axis of content composition, while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economics each have their own domain name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ese four domains are organized in a sequential overlapping methode, with history, geography, civics, and economics being incorporated as the grades progress. In terms of content selection and organization, seven major topics are selected and organized by grade, and all major topic names are combined with spatial and temporal scales, so both serve as the essence of composing learning content and scope. Major topics are arranged by grade in a horizon-expanding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strand, the topic of geography is basically region-centered, but also shows a combination of topic-centered content in middle grades (Y4) and above. In terms of skill strands, geography learning activities are organized so that there is clear differentiation and sequencing in the level of learner behavior and types of material use as the grades progress. Australia’s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provides us with implications such as sequential overlapping of domains, integration of content through a single major topic for each grade and explicit spatial scale for each major topic, sequencing of behavoir and material levels by skills according to grade, and geographic elabor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이 연구는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등사회과(HASS F-6), 특히 지리 교육과정의 최근 변화 특성 및 함의를 고찰한 것이다. 최근(2022) 오스트레일리아의 국가 교육과정 및 사회과 교육과정은 목표, 스트랜드 및 하위 스트랜드의 명칭, 학문적 사고 개념 및 학제적 사고 개념 등에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학문적 지식과 사고 개념이 강조되는 점, 성취기준의 내용을 정련하고 정교화(elaboration)한 점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초등지리 교육과정의 경우, ‘지식·이해’ 및 ‘기능’ 스트랜드(strands)가 내용 구성의 기본 틀이자 중심축으로 작용하는 가운데, 역사, 지리, 시민, 경제가 각각 독자적인 영역 명과 성취기준을 지닌다. 이 네 영역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역사와 지리, 시민, 경제 순으로 편입되는, 순차적 중첩방식으로 조직된다. 내용 선정 및 조직 면에서는 7개의 대주제가 선정되어 학년별로 계열화하여 있고, 모든 대주제 명에는 공간 및 시간 스케일이 결합하여 있어 양자가 학습 내용 및 범위 구성의 요체로 작용하고 있다. 대주제는 지평 확대 방식으로 학년별로 배열된다. 지식·이해 스트랜드 면에서 지리 주제는 기본적으로 지역 중심적 성격을 띠는 가운데서도 중학년(Y4) 이상에서 주제 중심적 내용도 복합된 특징을 보인다. 기능 스트랜드 면에서 지리 학습 활동은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학습자의 행동 수준 및 자료 활용 유형에서 명확한 차별화와 계열화가 이루어지도록 조직되어 있다.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등지리 교육과정은 우리에게 영역의 순차적 중첩, 학년별 단일 대주제를 통한 내용 통합 및 대주제별 공간적 스케일 명시, 학년에 따른 기능별 행동 및 자료 수준의 계열화, 성취기준의 지리교육적 정교화 등의 함의를 제공해 준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A Study on the Practice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Pre-Service Teacher’s Social Studies Classes - Focusing on the ‘Exchange’ Class Based o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15 -

    초등 예비교사의 사회과 수업 실행과 교수학적 변환에 대한 고찰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류’ 수업을 중심으로 -

    Okkyong Yoon

    윤옥경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covered in “exchange” lessons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knowledge perform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

    이 연구는 ‘교류’ 수업이 다루는 지식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을 살펴봤다. ‘교류’에 관한 성취기준은 1차적으로 서로 다른 학문적 지식 배경에서 출발하여 교육과정에 …

    + READ MORE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covered in “exchange” lessons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knowledge perform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xchange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riginated from different academic knowledge backgrounds. The content on exchange is presented in two separate units of the textbook, which are repeated twice within the same semester. In-service teachers may reorganize the curriculum to integrate the overlapping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have no room to critically interpret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in a given lesson. In addition, most of the exchang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not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expans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because they have a scale that is beyond the students’ residence.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keep students active and engaged in their classes, taking into account their interests and readiness. However, they lacked content knowledge, such as creating learning materials that were limited to the “concept” of the place of origin or that were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academic knowledge, and tended to focus on organi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facts presented in the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content knowledge and translate it into pedagogical practices, and to expan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t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by the entir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to closely examin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are the basis for teaching and to improve the suitability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이 연구는 ‘교류’ 수업이 다루는 지식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을 살펴봤다. ‘교류’에 관한 성취기준은 1차적으로 서로 다른 학문적 지식 배경에서 출발하여 교육과정에 제시됐다. 교류에 관한 내용은 교과서의 두 단원에 각각 서술되어 있어, 같은 학기 내에 2차례 반복 학습하게 된다. 현장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중복되는 두 내용과 학습활동을 통합하여 가르치기도 한다. 반면, 예비교사들은 주어진 한 차시의 수업에서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할 여지는 없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교류사례들은 대부분 ‘지역’스케일을 벗어나 초등사회과의 환경확대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흥미와 수준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활발한 활동과 참여를 유도했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은 원산지의 ‘개념’에만 갇혀 있거나 학문적 지식의 원리와 배치되는 학습자료를 작성하는 등 교과내용지식이 부족했고, 교과서에 제시된 지리적 사실보다 학생의 학습 활동을 구성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초등 예비교사가 교과내용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교수학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수업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선과 예비교사와 교과교육 전문가간의 소통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수업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세밀히 검토하고 교과내용의 교수학적 변환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리교육계 전반의 노력이 요구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Analysi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in Social Studies Education in Korea : Focusing on the 2015 and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nalysis of Social Studies Geography Section Textbook in the Middle School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의 저출산·고령화 내용 분석 - 2015 및 2022 개정 교육과정 및 중학교 사회 지리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중심으로 -

    Byung Il Yang

    양병일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내용을 분석해 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와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extbook produ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finitions in various areas, and the content of the geography section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relation to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explained in textbooks, they need to be described in a value-neutral manner. Second, definition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need to be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low birth rate are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perspective of temporal comparison, an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aging are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persistence of the phenomen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내용을 분석해 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해 2015 및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다양한 영역에 나타난 정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의 내용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가 교과서에 설명될 때는 가치 중립적으로 서술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의 정의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저출산을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합계출산율과 시간적 비교의 관점이고, 고령화를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와 현상의 지속성이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A Reflective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Aim and Goals of Korean Geography Subject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목적과 목표에 대한 반성적 고찰

    Chang-Sook Kang

    강창숙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change of educational aim and goals presented …

    본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목적과 목표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change of educational aim and goal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geography education goals presented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were divided into the ‘Korean National Geography’ period and the ‘Korean Geography’ period. The limitation that the educational aim was not explicitly presented. Second, the comprehensive goals presented from the 7th curriculum and the aim mentioned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knowledge and abilities, percep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and ideal human image.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aim was constructed experimentally. Lastly, the goals and sub-goals presented from the 2nd period were analyzed in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sed on this, educational goals were constructed experimentally. In the future, revis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and reflective practice that prioritizes explicit and meaningful composition of the subject’s educational aim and goals.


    본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목적과 목표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차 시기부터 제시된 한국지리 교육목표는 ‘국토지리’ 시기와 ‘한국지리’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교육목적을 명시적으로 구성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7차 시기부터 제시된 총괄목표와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언급된 목적을, 기초지식과 능력, 국토인식, 자질함양과 인간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목적을 시론적으로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2차 시기부터 제시된 목표 및 세부목표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영역별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목표를 시론적으로 구성했다. 앞으로 지리과 교육과정 구성에서는 교과의 교육목적과 목표의 명시적이고 유의미한 구성을 우선하는 인식 전환과 반성적 실천이 필요하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An Analysis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Travel Geography Curriculum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한 2015 개정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인지적 영역 분석

    Jinyoung Park · Boyoung Lee

    박진영 · 이보영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are cognitive domain,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o analyze’, ‘remember’, and ‘understand’ appear high, but ‘to evaluate’, ‘create’, and ‘apply’ appear low. Third, the way of combin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combined in various ways, but the distribution style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either side. Educational consensus on achievement-based vocabulary and clear standards for educational verbs are requir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높고,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다’, ‘기억하다’, ‘이해하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는 낮게 나타난다. 셋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분포양식은 하부 지식 차원이나 하부 인지과정 차원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성취기준 어휘의 교육적 합의와 교육적 동사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필요하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How Can AI Change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 Focusing on Geographical Inquiry -

    AI는 지리 교수학습을 어떻게 바꿔놓을 것인가? - 지리탐구를 중심으로 -

    Jongwon Lee

    이종원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geographical inquiry activities that incorporate generative AI, focusing on how such integration can transform learning experiences. The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를 통합한 지리탐구 활동을 개발하고, 이러한 자료의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학습경험의 변화를 예상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

    + READ M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geographical inquiry activities that incorporate generative AI, focusing on how such integration can transform learning experiences. The study developed five inquiry materials: examining the increase in abnormally high temperature days in Daegu, analyzing Seoul subway ridership, analyzing the population pyramid in Angye-myeon, Uiseong-gun, Gyeongsangbuk-do, visualizing and analyzing wind power plant locations, and assessing population changes in regions. These activities are designed to address diverse geographical issues through data analysis, visualization, predictive modeling, and interpretation. The incorporation of generative AI in these inquiries is marked by the use of external data and an emphasis on statistical analysis. Compared to traditional textbook-based inquiries, these AI-integrated activities highlight the entire inquiry processes, increasing the authenticity and transferability of geographical inquiry. They extend beyond just ‘understand’ and ‘analyze’ in Bloom’s taxonomy of cognitive processes to include ‘apply’ and ‘create’. This approach is anticipated to enhance data literacy and foster future-oriented skills.


    본 연구의 목적은 생성형 AI를 통합한 지리탐구 활동을 개발하고, 이러한 자료의 활용이 가져올 수 있는 학습경험의 변화를 예상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생성형 AI 통합 탐구 사례 5가지(대구지역의 이상고온 일수 변화 탐구, 서울시 지하철 승하차 인원 데이터 분석,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인구 피라미드 분석, 풍력발전소 위치 시각화 및 입지 분석, 시군구별 인구 증감 분석)를 제시하였다. 이들 탐구활동은 데이터 분석, 시각화, 예측 모델링 및 해석을 통해 다양한 지리적 문제를 탐구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성형 AI 탐구활동은 외부의 데이터를 활용하고, 통계분석을 강조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변화는 기존 교과서 기반 탐구에 비해 탐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강조하고, 지리탐구의 실제성과 전이가능성을 높이며, 블룸의 인지과정 분류에서 이해와 분석 단계 뿐 아니라 적용과 창의를 함께 강조하고, 학생들의 디지털 리터러시 및 미래역량의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and Development of Class Programs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 설정 및 수업 프로그램 개발

    Hana Kim · Eunjin Lim

    김하나 · 임은진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design and implement …

    본 연구는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행한 후 그 과정을 분석하여 지리과에서 사회 정의 …

    + READ M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design and implement a class program based on this, and analyze the proces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To this end, the meaning of social justice education, which is being approached in various ways, was reconceptualized, and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to be pursued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was set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survey results for geography teachers. In addition, by designing a class program reflecting this analysis of direction and learner needs, and analyzing the results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value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eacher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most teachers were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education, and it was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because social injustice and inequality are deeply related to geographic phenomena. Also, as a result of the program’s implementation, students became more aware of social justice and understood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cultural recognition as well as economic differen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at social justi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y subject by interpret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experienced by social minorities from a ‘space perspectiv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ollow-up programs so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centered on geography can be practiced not only in class but also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행한 후 그 과정을 분석하여 지리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지닌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는 사회 정의 교육의 의미를 재개념화하였으며,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분석종합하여 지리과에서 지향해야 할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향 및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반영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지리 교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가진 가치를 논하였다. 사회 정의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사회 정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 부정의 및 불평등이 지리적 현상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지리 교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은 사회 정의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하게 되었고, 경제적 차이 뿐만 아니라 문화적 인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불평등 문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지리 수업을 통해 학습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지리과가 중심이 된 사회 정의 교육이 수업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Geographic Affective Outcomes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 간의 관계

    Jeongwon Seong · Juhu Kim

    성정원 · 김주후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outcom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responses to geographic …

    본 연구는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에 대한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적 성과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

    + READ MORE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affective outcom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based on the results of responses to geographic affective outcome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To this end, a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on 782 students attending high schools located in Gyeonggi-do,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eographic affective outcome sub-factors and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econd,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of the affective outcome of the geography subject, it was categorized into four clusters: ‘low affective outcome type’, ‘individual priority type’, ‘community priority type’, and ‘high affective outcome type’. Third, when looking a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ccording to geographic affective outcome types, the high affective outcome type shows the highes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all types, while the low affective outcome type shows the lowest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among all types. However, the individual priority type and the community priority type are higher than the low affective outcome type and lower than the high affective outcome type,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has been confirmed.


    본 연구는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와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에 대한 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정의적 성과와 자기주도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782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 하위요인과 자기 주도적 학습 준비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리교과의 정의적 성과를 군집분석한 결과 ‘낮은 정의적 성과형’, ‘개인 우선형’, ‘공동체 우선형’, ‘높은 정의적 성과형’의 4개 군집으로 유형화되었다. 셋째, 지리교과 정의적 성과 유형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보면, 높은 정의적 성과형은 모든 유형 중 가장 높은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보여주고 있고, 낮은 정의적 성과형은 모든 유형 중 가장 낮은 자기주도 학습 준비도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개인 우선형과 공동체 우선형은 낮은 정의적 성과형보다는 높고, 높은 정의적 성과형보다는 낮은 값을 나타내지만, 둘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되지 않았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Exploratary Study on Camping Activities and Environmental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Camping Experience, Frequency and Types -

    초등학생의 캠핑 활동과 환경 역량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캠핑 경험, 빈도, 유형을 중심으로 -

    Eunjeong Park · Eunjung Seo · Youngkuen Song

    박은정 · 서은정 · 송영근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mpetenc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camping experiences, frequency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캠핑 경험, 캠핑 활동 빈도, 캠핑 활동 유형에 따라 환경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알아보고자 …

    + READ M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competencies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camping experiences, frequency of camping activities, and types of camping activities. The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based on whether elementary students had camping experience, the frequency of camping activities, or the types of camping activities. However, some specific items within the sub-factors of environmental competencie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students with camping experience tended to enjoy participating in nature-based ecological activities and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themselves as important contributors to solving local community issues compared to students without camping experience. Second, elementary students with higher frequencies of camping activities demonstrated awareness of the impact of their habits on the environment, expressed interest in global environmental issues, exhibited a capacity to retain environmental images for an extended period, and demonstrated a willingness to express their feelings about the environment through songs or drawings. Third, elementary students who engaged in camping with a focus on consumption were more adept at grasping important content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than students participating in appreciation and sports-oriented camping. Additionally, they exhibited a higher ability to articulate their thoughts on these issues verball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캠핑 경험, 캠핑 활동 빈도, 캠핑 활동 유형에 따라 환경 역량에 차이가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알아보고자 한 초등학생의 캠핑 활동 경험의 여부, 캠핑 활동 빈도, 캠핑 활동 유형은 전체적인 환경 역량의 하위 요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몇 가지 하위 환경 역량의 문항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캠핑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은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자연생태 체험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좋아했고, 우리 마을의 문제 해결을 위해 자신을 중요한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높았다. 둘째, 캠핑 활동 빈도가 높은 초등학생은 빈도가 적은 학생보다 자신의 습관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알며, 전 세계의 환경 문제에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환경 영상을 오래 기억하기도 하고, 환경에 관한 자신의 느낌을 노래나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의지를 보였다. 셋째, 소비 유형의 캠핑을 한 초등학생이 감상과 스포츠 유형의 캠핑을 한 학생보다 환경 쟁점에 대해 중요한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Bollnow’s Theory of Experiential Space and the Pedagogy of Place

    볼노(Bollnow)의 체험공간론과 장소의 페다고지

    Ho Yeop Nam

    남호엽

    This study focuses on reexamining the pedagogy of place based on Bollnow’s theory of experiential space. In Bollnow’s view, humans are the …

    이 연구는 볼노의 체험공간론에 기초하여 장소의 페다고지를 재음미하는데 초점이 있다. 볼노가 보기에 인간은 집과 그 외부의 넓은 세계 사이 관계의 산물이다. 집과 …

    + READ MORE
    This study focuses on reexamining the pedagogy of place based on Bollnow’s theory of experiential space. In Bollnow’s view, humans are the produ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and the wide world outside it.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and the outside world is done in terms of becoming a true dweller, and this situation is a state in which humans take good care of their lives. True dwelling means taking root in a certain place, overcoming the tension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space, and committing to the outside world based on trust. Bollnow’s theory of experiential space contributes to establishing an educational theory for true dwelling. First, the school curriculum can be established as a structu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me and the outside world, where the outside of the home is the public world and the unknown world. Second, in terms of expanding the scope of home, regionalization of school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process of turning the area where learners live into a place of dwelling. Third, learners must have learning opportunities to experience the inherent nature of the landscape, like a wanderer walking on a trail, so that they can live the life of a true dweller.


    이 연구는 볼노의 체험공간론에 기초하여 장소의 페다고지를 재음미하는데 초점이 있다. 볼노가 보기에 인간은 집과 그 외부의 넓은 세계 사이 관계의 산물이다. 집과 바깥 세계 사이 관계 설정은 참된 거주자 되기의 측면에서 이루어지며, 이 상황은 인간이 자신의 삶을 잘 돌보는 상태이다. 참된 거주는 일정한 장소에 뿌리내림, 내부와 외부 공간의 긴장을 극복함, 신뢰에 기초하여 외부 세계에 투신함을 의미한다. 볼노의 체험공간론은 참된 거주를 위한 교육론 정립에 기여한다. 첫째, 학교 교육과정은 집과 그 바깥 세계 사이 관계 구도로 설정할 수 있는데, 집의 외부는 공공 세계와 미지의 세계이다. 둘째, 집의 외연 확대 측면에서 교육과정의 지역화는 학습자가 살고 있는 고장을 참된 거주의 장소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주안점을 두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들은 오솔길을 걷는 도보 여행자처럼 경관의 내재성을 체험할 수 있는 학습의 기회를 가져야 진정한 거주자의 인생을 살 수 있을 것이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Comparison of Teachers' Perceptions on Global Citizenship - Focusing on the Differences between Geography Teachers and Other Subject Teachers -

    세계시민성에 관한 교사의 인식 비교 -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

    EunYeong Son · Sangyool Lee · JaeYung Choi

    손은영 · 이상율 · 최재영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s increasing, an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was …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과 지리’가 고등학교 지리 일반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

    + READ MORE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s increasing, an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was included as a general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ge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omparing the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status in schools between geography teachers and teachers in other subjects. To this e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urrent geography teachers and teachers in other subjects, and further, teachers in other subjects were subdivided into social studies (excluding geography) and subjects other than social studi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how teachers perceive the world, whether they have any potential prejudice, and, if so, what they were influenced by, and discuss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geography teachers and other subject teachers by embodying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과 지리’가 고등학교 지리 일반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 간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의 이해도, 학교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실행 상황을 비교하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직 지리 교사들과 타교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나아가 타교과를 사회과(지리과 제외) 및 사회과 외 타교과로 세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들의 세계에 대한 인식, 잠재적 편견 정도, 잠재적 편견에 영향을 준 원인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 비판적 세계시민성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인식 연구를 구체화하여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들의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 Research Article

    Representations of Korea Location in Geography Textbooks before and after 1945 Liberation

    해방 전후 지리교과서에 수록된 국토 위치의 표상

    Jeongbo Shim

    심정보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ocation included in geography textbooks before Korea's liberation in 1945 and after liberation until …

    이 연구는 1945년의 한국의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지리교과서에 수록된 국토 위치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에는 …

    + READ MOR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ocation included in geography textbooks before Korea's liberation in 1945 and after liberation until the 1950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countries in eastern Asia, the ocean, and the mathematical location of the Korean were described. Seco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1910 to the early 1930s, the situation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eastern Asia was described statically, but from the mid-1930s to 1945, the Korean Peninsula was depicted as a weak rabbit, a continental advance base, and a dynamic relational position with a static location. Third,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1950s,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location, excellent location, the tiger shape of the Korean Peninsula, historical rise and fall, and the front line of the free camp were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territory. As such,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contents of the location of Korea differ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이 연구는 1945년의 한국의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지리교과서에 수록된 국토 위치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에는 아시아 동부의 한반도 및 주변의 국가와 해양, 그리고 한국의 수리적 위치가 기술되었다. 둘째, 일본 식민지 시대인 1910년부터 1930년대 전반까지는 아시아 동부의 한반도와 주변의 상황이 정태적으로 기술되었지만, 1930년대 중반부터 1945년까지는 한반도가 나약한 토끼 형상, 대륙전진기지, 정태적인 위치와 함께 동태적인 관계적 위치로 서술되었다. 셋째, 1945년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는 수리적 위치, 우수한 위치, 한반도의 호랑이 형상, 역사적 성쇠, 자유진영의 최전선 등의 내용이 국토와 관련하여 제시되었다. 이처럼 해방 전후 한국의 지리교과서에는 국토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 국가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 COLLAPSE
    29 February 2024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