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9,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1. pp. 23-37
Abstract
As sustainable education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re emphasized in geography education, interest in classes using controversial issues is increasing.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opics, scope of issues, learning goal and strategies to understand how the world geography textbook deals with controversial issues. Key findings include: First, in the case of unit where issues are specifi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similar topics were dealt with in each textbook, and there were textbooks that discovered new issues in each unit regardless of the curriculum. Second, the scope of the issues covered in the debate was the largest number of global-national level, and relatively few issues showed interrelationship to local or personal levels. Third, teaching strategies such as data analysis, pros and cons discussion, role play and learning goals in terms of conceptual knowledge or value/attitude were utilized. When using controversial issues in geography classes,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procedural knowledge that emphasizes the process of clarifying individual arguments and social consensus.
지리교육에서 지속가능한 교육, 세계시민성 교육이 강조되면서 논쟁문제를 활용한 수업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세계지리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논쟁문제의 주제, 범위 그리고 학습목적과 전략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과 교육과정에 쟁점이 명시된 영역(단원)의 경우 교과서별로 유사한 소재를 다루었으며, 교육과정과 관계없이 영역(단원)마다 새로운 쟁점을 발굴하는 교과서도 있었다. 둘째, 논쟁문제에서 다루는 쟁점의 범위는 지구적-국가적 수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지역 혹은 개인적 수준까지의 상호연관성을 보여주는 쟁점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셋째, 논쟁문제에는 개념적 지식이나 가치/태도 측면의 학습목적과 자료 분석, 찬반토론, 역할극 등의 전략이 주로 활용되었다. 지리수업에서 논쟁문제를 활용할 경우 개인의 주장을 명료화하는 논증과 합의 과정을 강조하는 절차적 지식의 보완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7]
  2. 구정화, 2020, "공론화를 적용한 사회과 논쟁문제 수업방안 -숙의 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시민교육을 지향하며-", 시민교육연구, 52(2), 1-26.
  3. 김병연, 2011, "생태시민성 논의의 지리과 환경 교육적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2), 221-234. 10.17279/jkagee.2011.19.2.221
  4. 김병연, 2013, "윤리적 소비의 세계에서 비판적 지리교육 : '공정무역'을 통한 윤리적 시민성 함양?",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29-145.
  5. 노경주, 2000, "초등 사회과에서의 쟁점 중심 교육", 시민교육연구, 31, 83-108.
  6. 박남수, 2002, "지구촌 논쟁문제 중심의 지리교육", 사회과교육, 41(4), 85-104. 10.1016/S0378-5122(02)00017-8
  7. 박승규, 2015, "'지리적 논쟁문제'의 의미 탐색", 사회과교육연구, 22(3), 1-12.
  8. 손병노, 2019, "논쟁문제의 준거 논쟁: 양상과 함의", 사회과수업연구, 7(2), 75-91. 10.31310/HUM.075.02
  9. 엄은희, 2009, "제3세계 환경문제에 대한 환경정의적 접근과 지리교육의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1), 59-71. 10.17279/jkagee.2009.17.1.59
  10. 오연주, 2014, "공공쟁점 토론학습에서 논쟁성의 실천적 의미 : 쟁점의 논쟁성과 사회과 교사의 역할 지향성 관계", 시민교육연구, 46(2), 201-227.
  11. 이바름・정문성, 2020, "사회과 논쟁문제 토론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시민교육연구(52), 3, 187-212.
  12. 조철기, 2013,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62-180.
  13. Aikenhead, G. S., 1985, Collective decision making in the social context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69(4), 453-475. 10.1002/sce.3730690403
  14. Cooling, T., 2012, What is a controversial issue? Impl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religious beliefs in education, Journal of Beliefs and Values, 33(2), 169-181. 10.1080/13617672.2012.694060
  15. Davies, P., 2009, Improving the quality of students' arguments through assessment for learning, Journal of Social Science Education, 8(2), 94-104.
  16. Jackson, P., 2006, Thinking geographically, Geography, 91(3), 199-204. 10.1080/00167487.2006.12094167
  17. Morgan, A., 2001, Development, globalisation and sustainability, Nelson Thornes: Cheltenham..
  18. Morgan, A., 2006, Argumentation geography education and ICT, Geography, 91(2), 126-140. 10.1080/00167487.2006.12094158
  19. National Science Teacher Association (NSTA), 2009, The biology teacher's handbook (4th edition), NSTA Press: Arlington.
  20. Ratcliffe, M. and Grace, M., 2003, Science education for citizenship teaching socio-scientific issues, Open University Press.
  21. Roberts, M., 2013, Geography through enquiry: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econdary school, Geographical Association. (이종원 역, 2016, 탐구를 통한 지리학습: 중등학교를 위한 교수・학습방법, 푸른길)
  22. Swift, D., 2005, 'Geography: Why Argue?', Background paper from Celebrating Geography Conference, University of Cambridge, Geographical Association.
  23. Zeidler, D. L., Sadler, T., S., Simmons, M. L., and Howes, E. V., 2005, Beyond STS: A research-based framework for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Science Education, 89, 357-377. 10.1002/sce.20048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9
  • No :3
  • Pages :23-37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