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51~67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phenomena that appear in the change of educational aim and goals presented in the high school Korean geography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period of syllabu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results of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Korean geography education goals presented from the 2nd curriculum period were divided into the ‘Korean National Geography’ period and the ‘Korean Geography’ period. The limitation that the educational aim was not explicitly presented. Second, the comprehensive goals presented from the 7th curriculum and the aim mentioned from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basic knowledge and abilities, perception of the national territory, and ideal human image. Based on this, the educational aim was constructed experimentally. Lastly, the goals and sub-goals presented from the 2nd period were analyzed in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understanding, process-skill, and value-attitude. Based on this, educational goals were constructed experimentally. In the future, revisio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requires a change in perception and reflective practice that prioritizes explicit and meaningful composition of the subject’s educational aim and goals.
본 연구에서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국가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목적과 목표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반성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2차 시기부터 제시된 한국지리 교육목표는 ‘국토지리’ 시기와 ‘한국지리’ 시기로 구분되었으며, 교육목적을 명시적으로 구성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7차 시기부터 제시된 총괄목표와 2007 개정 교육과정부터 언급된 목적을, 기초지식과 능력, 국토인식, 자질함양과 인간 형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목적을 시론적으로 구성했다. 마지막으로, 2차 시기부터 제시된 목표 및 세부목표를, 지식·이해, 과정·기능, 가치·태도 영역별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목표를 시론적으로 구성했다. 앞으로 지리과 교육과정 구성에서는 교과의 교육목적과 목표의 명시적이고 유의미한 구성을 우선하는 인식 전환과 반성적 실천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강대현, 2015,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사회과교육, 54(1), 63-89.
  2. 강대현, 2018, “종합적인 시민교육을 위한 사회과 목표 제시 전략”, 시민교육연구, 50(1), 1-28.
  3. 강진호 외 지음, 2007,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글누림.
  4. 강창숙, 2013, “근대계몽기 세계지리 교과서 『小學萬國地誌』의 내용체계와 서술방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4), 747-763.
  5. ______, 2017, “미군정기 중학교 지리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특징”, 대한지리학회지, 52(2), 245-263.
  6. 강창숙, 태지현, 2023, “2022 개정 고등학교 지리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지리 탐구의 특성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4), 55-74.
  7. 교육과학기술부, 2010a,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
  8. 교육과학기술부, 2010b,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사회(역사).
  9. 교육부, 1995, (교육부 고시 제1992-19호에 따른)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해설.
  10. 교육부, 1998, (교육부 고시 제1997-15호에 따른)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4. 사회.
  11. 교육부, 1999,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총론 1954-1997).
  12. 교육부, 2000,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국사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13. 교육부, 2022,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사회과 교육과정.
  14. 권혁재, 1991, “국토지리: 왜 배워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3-258. 10.1007/BF00587966
  15. 김대현, 2017, “2015 개정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현황과 과제”, 교육과정연구, 35(2), 95-118.
  16. 김영석, 2013, “제6차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 과정에 대한 기억의 재구성”: 국민에서 시민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0(2), 13-28.
  17. 김종건, 2003, “‘교육’의 준거와 교과의 교육목적”, 교육과정연구, 21(4), 25-50. 10.1097/01.COT.0000291064.84833.ac
  18. 김진국, 2004a, “교사들이 인식한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1), 45-60.
  19. 김진국, 2004b, “우리나라 지리과 교육과정 목표 설정에 관한 연구”, 사회과 교육, 43(2), 201-226.
  20. 남민우, 2007, “문학교육 목표 변천에 대한 비판적 고찰: 고등학교 문학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2, 119-152.
  21. 남상준, 1996a, “지리교육 목표설정에서의 상세화와 구체화의 추구”, 지리학논총, 22(1), 267-279.
  22. 남상준, 1996b, “지리교육 반세기의 회고와 전망: 연구업적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1(2), 317-328.
  23. 박병기·모경환·박형준·김민재·강수정·이경환·김대훈·문순창·김은미, 2021, “포스트코로나 대비 미래 지향적 사회교과군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 교육부.
  24. 박선미, 2016a, “2015 개정 중학교 사회과교육과정 개발 과정의 의사결정 구조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33-45.
  25. 박선미, 2016b, “우리나라 사회과교육과정의 통합구조 변화에 따른 지리교육의 목표와 내용 변화: 중학교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935-955.
  26. 박제홍·김순전, 2016, “일제의 우민화 교육과 역사교과서: <제1차 조선교육령> 시기 조선총독부 편찬 보통학교용 교과서를 중심으로”, 일본어교육, 78, 183-196.
  27. 박창언·정영근, 2009,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교육목표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7(4), 1-20.
  28. 백혜조·박지혜, 2014, “국가교육과정기준의 ‘추구하는 인간상’에 나타난 가치 분석”, 한국교육학연구, 20(3), 59-77.
  29. 서태열, 2005,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30. 심승희, 2017,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초등 사회과 한국지리 단원의 학습주제 및 내용 개발: 한강을 따라가는 우리나라 지리 여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1), 1-18.
  31. 유흥식, 1995, “지리과의 환경교육 목표와 내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 11-31.
  32. 이경한, 1993, “지리교육에서 기대하는 인간상에 관한 논의”, 지리학연구, 22, 1-12.
  33. 이경한, 1996, “지리교육의 가치 목표와 그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1), 39-48.
  34. 이상은·소경희, 2019,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OECD 역량교육의 틀 변화 동향 분석: ‘Education 2030’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연구, 37(1), 139-164. 10.15708/KSCS.37.1.6
  35. 임덕순, 1977, “중학교 사회과 교육목표의 변천”, 사회과교육, 10, 16-23. 10.1109/C-M.1977.217522
  36. 임덕순, 1989, “한국 고교 지리과목의 구성골격, 목표, 내용의 변천”, 지리교육논집, 21, 1-17.
  37. 조성욱, 2014, “초중등 지리교육 내용 구성 방법의 비판적 검토와 대안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95-110. 10.17279/jkagee.2014.22.1.95
  38. 조철기, 1999, “한국지리 교육목표의 분류학적 연구”, 지리교육, 11, 1-60. 10.1046/j.1442-2026.1999.03113.x
  39. 최영환, 2005,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격과 목표 분석, 교원교육, 21(2), 11-24.
  40. 황재기, 1995, “제6차 고등학교 지리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구성의 특색과 문제점”, 서울사대논총, 51, 33-57.
  41. Eisner, E. W., 이해명 옮김, 2012, 교육적 상상력: 교육과정의 구성과 평가, 단국대학교출판부(Eisner, E. W., 1979, The educational imaginatio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Macmillan, New York).
  42. Geography Education National Implementation Project(GENIP), 2012,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2nd), National Council for Geographic Education, Washington, D.C.
  43. Geography Education Standards Project(GESP), 1994, Geography for Life: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National Geographic Research & Exploration, Washington, D.C.
  44. Graves N. J., 1984, Geography in Education, Heinemann Educational Books, London.
  45.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s://ncic.re.kr)
  46. 법제처, 국가법령정보센터(https://www.law.go.kr/2023.10.14.)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51~67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