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69~94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higher-order knowledge by analyz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ravel geography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t the level of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which are cognitive domain, using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tacognitive knowledge’ is the highest and ‘procedural knowledge’ is the lowest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Second,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to analyze’, ‘remember’, and ‘understand’ appear high, but ‘to evaluate’, ‘create’, and ‘apply’ appear low. Third, the way of combining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is combined in various ways, but the distribution style is concentrated and distributed in either side. Educational consensus on achievement-based vocabulary and clear standards for educational verbs are required.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여행지리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를 활용하여 인지적 영역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으로 분석하여 고차적 지식의 함양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첫째, 지식 차원에서 ‘메타인지 지식’이 가장 높고, ‘절차적 지식’이 가장 낮다. 둘째, 인지과정 차원에서 ‘분석하다’, ‘기억하다’, ‘이해하다’는 높게 나타나지만, ‘평가하다’, ‘창안하다’, ‘적용하다’는 낮게 나타난다. 셋째,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결합방식은 다양하게 결합되어 있지만, 분포양식은 하부 지식 차원이나 하부 인지과정 차원의 어느 한쪽으로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다. 성취기준 어휘의 교육적 합의와 교육적 동사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강경희, 2023,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15와 2022 개정 교육과정 생명과학 영역 성취기준 비교”, 교육과정평가연구, 26(3), 103-119. 10.29221/jce.2023.26.3.103
  2. 강신천, 2014, “성취평가제에서의 이원목적분류표 작성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7(2), 21-48. 10.29221/jce.2014.17.2.21
  3. 강창숙, 2016, “한국의 여행지리와 중국의 관광지리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1), 267-285.
  4. 강창숙·이영재, 2023,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 교사 교육과정 실천과 학습자 인식 특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1), 107-124.
  5. 강현석·강이철·권대훈·박영무·이원희·조영남·주동범·최호성 공역, 2005a, 교육과정 수업 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 : Bloom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아카데미프레스.
  6. 강현석·정재임·최윤경, 2005b,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에 대한 비판과 그 대안 탐구: 일선 교사들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3(1), 51-84.
  7. 교육부, 2015a,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해설(별책14: 고등학교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8. 교육부, 2015b,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와 성취기준.
  9. 교육부, 2015c,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별책1: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10.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별책7: 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11. 김경은·이승연·정영선, 2018, “코퍼스 분석을 이용한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연구 : 한국과 미국 조지아주를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0(2), 1-33.
  12. 김기남, 2021, “여행지리 정착을 위한 세 가지 질문과 도전”, 한국사진지리학회지 31(1), 90-107.
  13. 김윤희·윤기순·권덕기, 2010,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기초한 중학교 생물 영역 총괄 평가 문항의 목표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1), 164-174.
  14. 김은주, 2020,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예술교육연구, 18(1), 85-100.
  15. 김지수, 2020, “고등학교 「여행지리」 과목의 학교교육 현황: 교사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4), 17-35.
  16. 도성화, 2014, “2011년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중학교 ‘진로와 직업’ 교과서 수업목표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를 중심으로 - ”,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5(3), 471-492.
  17. 모경환· 강대현, 2012, “사회과 교육과정과 성취기준 - 일반사회 영역의 특징과 문제점 -”, 사회과교육, 51(2), 61-76.
  18. 모경환·강대현·은지용, 2016,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쟁점”, 시민교육연구, 48(1), 1-30.
  19. 박가람·박현숙, 2023,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의한 2015 개정 중학교 역사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6(1), 57-77. 10.29221/jce.2023.26.1.57
  20. 박기범, 2016,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반한 사회과 성취기준 분석 - 2015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서울교육대학교 한국초등교육, 27(4), 135-152.
  21. 박남수, 2017,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사회과의 성취기준과 교사용 지도서의 단원목표 분석”, 특수교육 저널: 이론과 실천, 18(4), 183-201. 10.19049/JSPED.2017.18.4.08
  22. 박종관·홍현철·김기남·양향자·김지호·윤지현·신혜은, 2018, 고등학교 여행지리, 천재교과서.
  23. 범영우, 2023, 비재현 이론에 근거한 「여행지리」의 경관 분석과 수업 실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손민석·이진희, 2022, “고등학교 여행지리에 대한 학생의 인식 조사: 김해시 일반고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지리학회지, 11(1), 29-47. 10.25202/JAKG.11.1.3
  25. 신진걸·조철기, 2008,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지리 수업목표의 진술과 평가의 실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2), 129-144.
  26. 심승희·김현주,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개발과 관련 논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87-98.
  27. 여미라, 2022, 여행지리 교과 연계 진로 교육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오성환·송현순, 2013,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실과 교과의 인지적 목표 분석”, 실과교육연구, 19(2), 1-21.
  29. 은지용·강대현, 2015, “일상적인 수업과 고차사고력 학습 – 중등 사회과 수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 시민교육연구, 47(4), 135-169.
  30. 이경한, 2018, “세계 시민 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3(2), 39-75. 10.35179/jeiu.2018.13.2.39
  31. 이광우, 2018, “KDB 프레임워크에 근거한 2015 개정 통합사회, 통합과학 과목의 성취기준 분석”,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8(9), 415-429.
  32. 이동민, 2016, “2015 개정 고등학교 여행지리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의미구조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5(1), 1-11. 10.25202/JAKG.5.1.1
  33. 이바름·김명정, 2021, “2015 개정 교육과정 정치영역 성취기준 분석과 개선 방안 - 교과 역량의 기능을 중심으로”, 시민교육연구, 53(3), 151-182.
  34. 이보람 , 2023, KDB 모형을 적용한 고등학교 음악과 여행지리의 통합교육 설계 및 지도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소연, 2017,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 성취기준 진술 분석”, 시민교육연구, 49(1), 93-112. 10.35557/trce.49.1.201703.004
  36. 이재호·박기범, 2021, “2015 교육과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 학습 목표 분석 - 신 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여 -”, 한국초등국어교육, 71, 305-331.
  37. 이현숙·강현석, 2013,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국어과 교육과정 성취 기준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2), 305-325.
  38. 임미가, 2020,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분석”, 실과교육연구, 26(1), 17-32. 10.29113/skpaer.2020.26.1.002
  39. 전보애·길현주·김민숙·김인철·범영우·서지연·성정원·오태훈·이윤구·채나미·이동민,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한국지리, 세계지리, 여행지리 교수·학습자료 개발 과정에 대한 논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2), 17-34.
  40. 전보애·범영우, 2023, “2022 개정 고등학교 융합선택과목 『여행지리』 교육과정 개발 과정과 주요 내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2), 39-53.
  41. 전재원·남상준, 2018,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 환경 교재의 수업 목표 분류 및 분석 연구”, 환경교육, 31(3), 259-273.
  42. 전재원, 2019,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 영역 성취기준 분석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 1061-1082.
  43. 조경철, 2010, 지리교육과정의 성취목표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평가목표의 비교분석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하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조성호·이강준·홍철희·박성계·백승진·신 준, 2022, 고등학교 여행지리, 씨마스.
  45. 최정순·설규주, 2014, “사회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진술 방식 및 구조 분석 - 2009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경제 영역을 중심으로 -”, 사회과 교육, 53(2), 1-19.
  46. 최정연·남상준, 2019, “초등 사회과 지리영역 성취기준과 수업목표의 정합성 분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경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4), 1-16.
  47. 최정인·백성혜, 2015,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에 기초한 2007 및 2009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의 성취기준 비교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2), 277-288. 10.14697/jkase.2015.35.2.0277
  48. Anderson, L. W. and Krathwohl, David R., (Eds.), 2001, A Taxonomy for Learning, Teaching, and Assessing :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Longman, New York.
  49. Bloom. B. S., 1956,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Handbook Ⅰ: The cognitive domain, David Mckay, New York.
  50. Davis, E. A. and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10.3102/0013189X034003003
  51.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Bloom's taxonomy :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10.1207/s15430421tip4104_2
  52. Remillard, J. T., Harris, B., and Agodini, R. 2014, The influence of curriculum material design on opportunities for student learning, ZDM: Mathematics Education, 46(5), 735-749. 10.1007/s11858-014-0585-z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69~94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