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33~5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 of low birth rates and aging in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extbook produ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2015 and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finitions in various areas, and the content of the geography section of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textbooks in relation to low birth rate and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n low birth rates and aging populations are explained in textbooks, they need to be described in a value-neutral manner. Second, definitions of low birth rate and aging need to be presente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low birth rate are the total fertility rate and the perspective of temporal comparison, and the key elements for defining aging are the increase in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the persistence of the phenomenon.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사회 교과서의 저출산·고령화 내용을 분석해 교과서 제작과 관련한 제안을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와 관련해 2015 및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다양한 영역에 나타난 정의, 중학교 사회 교과서 지리 영역의 내용을 분석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가 교과서에 설명될 때는 가치 중립적으로 서술될 필요가 있다. 두 번째로 저출산과 고령화의 정의가 제시될 필요가 있다. 저출산을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합계출산율과 시간적 비교의 관점이고, 고령화를 정의하기 위한 핵심 요소는 노인 인구 비율의 증가와 현상의 지속성이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8-162호 [별책 7]).
  2. 교육부, 2022,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3. 구정화 외 11인, 2023, 중학교 사회 ②(5판 1쇄), 천재교육.
  4. 김경호, 2004, “저출산 고령화사회의 노인복지”, 사회연구, 1, 27-52. 10.1080/0140511031000091202
  5. 김영미, 2018,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 대한 젠더 분석: 저출산 담론의 재구성을 위하여”, 비판사회정책, 59, 103-152. 10.47042/ACSW.2018.05.59.103
  6. 김영순 외 13인, 2023, 중학교 사회 ②(6쇄), 동아출판.
  7. 김종훈, 2018, “인구정책 및 저출산·고령화 대책 전망”, 보건복지포럼, 255, 61-74.
  8. 김진수 외 14인, 2023, 중학교 사회 ②(6쇄), 미래엔.
  9. 대한민국정부, 2010,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대책(2010년도 중앙부처 시행계획).
  10. 모경환·차경수, 2022, 사회과교육(제3판), 동문사.
  11. 모경환 외 11인, 2023, 중학교 사회 ②(제6판), 금성출판사.
  12. 박선미·강순희, 2023, “한국의 저출산·고령화 정책 변화에 대한 사회교과서의 내용 분석: 제1차-제4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과 2015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62(1), 47-67. 10.37561/sse.2023.3.62.1.47
  13. 박윤경, 2013, “미국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의 인구 교육 내용 분석”, 시민교육연구, 45(4), 67-100.
  14. 박은태·정광희, 2008, 인구학 입문, 경연사.
  15. 박형준 외 12인, 2023, 중학교 사회 ②(6판), 천재교과서.
  16. 배은경, 2021, “‘저출생’의 문제제기를 통해 본 한국 인구정책의 패러다임 전환 모색-재생산 주체로서 여성의 행위성과 저출산·고령사회정책의 검토”, 페미니즘연구, 21(2), 137-186. 10.21287/iif.2021.10.21.2.137
  17. 설규주, 2013, “사회 교과서 속 저출산·고령화 관련 서술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사회> 교과서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2(3), 31-50.
  18. 심재권, 2008, “저출산·고령화의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농촌과 도시지역의 산업구조변화 비교분석”,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2(2), 125-146.
  19. 연합뉴스., 2024년1월30일자, “‘플랜 75’ 하야카와 감독 “고령자의 삶 생각해보는 계기 되길””, (https://www.yna.co.kr/view/AKR20240130144400005?input=1195m, 2024년1월30일 접속).
  20. 우마이마사유키·이명희, 2013, “한·일 양국의 저출산·고령화·인구감소 현상과 사회과 교육의 과제-초등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단서로-”, 사회과교육, 52(4), 1-22.
  21. 이민부 외 11인, 2023, 중학교 사회 ②(3판 4쇄,) 박영사.
  22. 이상림, 2012, “저출산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 전망과 정책적 함의”, 한국인구학, 35(2), 1-28.
  23. 이진석 외 14인, 2023, 중학교 사회 ②(6쇄), 지학사.
  24. 이희연, 2003, 인구학, 법문사.
  25. 정문성·김경모·박기범·설규주·전영은, 2019,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저출산·고령화 내용 분석”, 시민교육연구, 51(1), 239-273. 10.35557/trce.51.1.201903.009
  26. 정성호, 2009, “저출산에 관한 이론적 접근”, 한국인구학, 32(4), 161-183.
  27. 최만식, 2012, “고등학교 2009 개정 ‘사회’ 교과서의 고령화 관련 단원 내용 분석: 고령화 교육 적합성을 중심으로.”, 교육학 논총, 33(1), 103-128.
  28. 최성길 외 13인, 2023, 중학교 사회 ②(6쇄), 비상교육.
  29. 통계청, 2022, 2022년 출생통계.
  30. 통계청, 2023. 2023년 고령자통계.
  31. OECD 홈페이지, DATA(https://data.oecd.org/pop/fertility-rates.htm, 2023년12월1일 접속).
  32. United Nations Department of Economic and Social Affairs Population Division,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22 (https://www.un.org/development/desa/pd/sites/www.un.org.development.desa.pd/files/wpp2022_summary_of_results.pdf, 2024년1월2일 접속).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33~50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