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17~32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knowledge covered in “exchange” lessons and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knowledge performed by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xchanges” were presented in the curriculum originated from different academic knowledge backgrounds. The content on exchange is presented in two separate units of the textbook, which are repeated twice within the same semester. In-service teachers may reorganize the curriculum to integrate the overlapping content and learn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pre-service teachers have no room to critically interpret and reorganize the curriculum in a given lesson. In addition, most of the exchanges presented in the textbooks are not in line with the principles of environmental expans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because they have a scale that is beyond the students’ residence.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able to keep students active and engaged in their classes, taking into account their interests and readiness. However, they lacked content knowledge, such as creating learning materials that were limited to the “concept” of the place of origin or that were aligned with the principles of academic knowledge, and tended to focus on organizing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rather than the geographical facts presented in the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ing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for pre-service teachers to acquire content knowledge and translate it into pedagogical practices, and to expand communication opportunities between pre-service teachers and experts of the subject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by the entire geography education community to closely examin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that are the basis for teaching and to improve the suitability in the didactic transposition of the curriculum content.
이 연구는 ‘교류’ 수업이 다루는 지식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수학적 변환을 살펴봤다. ‘교류’에 관한 성취기준은 1차적으로 서로 다른 학문적 지식 배경에서 출발하여 교육과정에 제시됐다. 교류에 관한 내용은 교과서의 두 단원에 각각 서술되어 있어, 같은 학기 내에 2차례 반복 학습하게 된다. 현장 교사들은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여 중복되는 두 내용과 학습활동을 통합하여 가르치기도 한다. 반면, 예비교사들은 주어진 한 차시의 수업에서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해석하고 재구성할 여지는 없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교류사례들은 대부분 ‘지역’스케일을 벗어나 초등사회과의 환경확대원리에 부합하지 않는다. 예비교사들은 학생의 흥미와 수준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수업에서 학생들의 활발한 활동과 참여를 유도했다. 하지만, 예비교사들은 원산지의 ‘개념’에만 갇혀 있거나 학문적 지식의 원리와 배치되는 학습자료를 작성하는 등 교과내용지식이 부족했고, 교과서에 제시된 지리적 사실보다 학생의 학습 활동을 구성하는 데 집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에 초등 예비교사가 교과내용지식을 획득하고, 이를 교수학적으로 변환할 수 있는 수업전문성 향상 프로그램 개선과 예비교사와 교과교육 전문가간의 소통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아울러 수업의 근간이 되는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세밀히 검토하고 교과내용의 교수학적 변환의 적합성을 높이기 위하여 지리교육계 전반의 노력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강대현, 2013,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 분석 연구 - 교사 전문성 논의의 종합과 전문성 분석틀 개발 -”, 사회과교육, 52(4), 75-89.
  2. 김경은, 2011,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제고를 위한 수업비평”, 교과교육학연구, 15(3), 711-735.
  3. 김민정, 2002, “지리수업에서의 교수학적 변환에 근거한 극단적인 교수현상”,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115-126.
  4. 김순희, 2009, “초등 사회 수업에 대한 관점 연구: 수업에 대한 수용자의 반응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48(3), 75-91.
  5. 김영현, 2019, “협력적 수업실습프로그램 적용 사례에 나타난 예비 초등교사들의 사회수업에 대한 인식과 관점변화”,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58(4), 539-554.
  6. 김정인·박승규·박윤경·정요근·이종원·김자영·배성호·문재경·고아라·양은석·지태민·이은진·김민우·하늘빛·신혜선·김현애·신봉석, 2022, 사회 4-2: 초등학교 3-4학년군, 천재교육.
  7. 김현섭·김성천·허승환·최태성·정혜경·이혜영·유창기·김수진·김양숙·박지희·김해동·조선형·임재일·김관식·정나라·현숙원·권수진·복건수, 2022a, 사회 4-2 지도서, 비상교과서.
  8. 김현섭·김성천·허승환·최태성·정혜경·이혜영·유창기·김수진·김양숙·박지희·김해동·조선형·임재일·김관식·정나라·현숙원·권수진·복건수, 2022b, 사회 4-2: 초등학교 3-4학년군, 비상교과서.
  9. 김혜진, 2015a, 사회과 수업에서 교수학의 인류학적 접근 이론(ATD)를 이용한 지리지식의 변환에 대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김혜진, 2015b, “교수학의 인류학적 접근 이론(ATD)의 이해”, 사회과교육, 54(4), 115-128.
  11. 남호엽·곽신권, 2005, “협력적 사회과 수업실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위한 실행연구: 교생의 반성적 수업실천을 사례로”, 사회과교육연구, 12(2), 373-402.
  12. 박정서, 2012, “사회과 예비교사가 교육실습과정에서 경험한 수업실천과 그 반성에 대한 이해”, 한국교원교육학회, 한국교원교육연구, 29(3), 71-100. 10.24211/tjkte.2012.29.3.71
  13. 설규주, 2007, “초등 사회과 수업의 패턴 고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제고 방안 연구”, 사회과교육, 46(4), 59-90.
  14. 설규주, 2011, “교생의 수업 관찰 및 면담을 통한 사회과 수업 관련 경험과 인식 연구”, 사회과교육, 50(1), 69-91.
  15. 송언근, 2003, “이론과 실제, 그 협력의 새로운 지평을 위한 교육 실습의 재구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3), 101-117.
  16. 앤디 파이크 지음, 이재열·장근용·오준혁·박경환 옮김, 2022, 오리지네이션 - 브랜드와 브랜딩의 지리학 -, 푸른길.
  17. 오동주·황홍섭, 2020, “마이크로티칭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 탐색: 초등사회과를 사례로”, 사회과교육, 59(1), 93-120. 10.37561/sse.2020.03.59.1.93
  18. 이경한·김서윤, 2019, “예비교사의 사회과 과제분석 결과와 오류 분석: 중심지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종합연구원, 교육종합연구, 17(4), 197-220.
  19. 이호욱, 2022, “예비교사의 수업지도안에 대한 피드백 내용 분석: 초등 사회과 세계지리 단원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2(14), 217-235. 10.22251/jlcci.2022.22.14.217
  20. 장의선, 2007, “교수학적 변환의 관점에서 본 지리교육 내용의 적절성 연구”, 사회과교육연구, 14(1), 87-108.
  21. 조성욱, 2009, “지리 지식의 유형별 교수학적 변환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11-224.
  22. 한광웅, 2010, “사회과 교수학습과정안의 반성적 멘토링에 의한 예비교사의 수업전문성 형성과정 연구”, 사회과교육, 49(3), 17-38.
  23. 한광웅, 2012, “교수내용지식의 메타적 이해를 통한 사회과교사의 정체성 탐색”, 사회과교육, 51(4), 63-76. 10.24159/joec.2012.18.4.63
  24. Blankman, M., Schoonenboom, J., Schee, J.v.d., Boogaard, M., and Volman, M., 2016, Learning to teach geography for primary education: results of an experimental programme,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40(3), 425-441. 10.1080/03098265.2016.1144731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17~32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