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173~192
Abstract
Interest i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to foster global citizenship is increasing, and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Global Citizenship and Geography’ was included as a general elective subject in high school geograph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y comparing the understanding of global citizenship,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eaching and learning implementation status in schools between geography teachers and teachers in other subjects. To this end, surveys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current geography teachers and teachers in other subjects, and further, teachers in other subjects were subdivided into social studies (excluding geography) and subjects other than social studi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how teachers perceive the world, whether they have any potential prejudice, and, if so, what they were influenced by, and discuss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global citizenship.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larified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between geography teachers and other subject teachers by embodying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세계시민성을 함양하기 위한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세계시민과 지리’가 고등학교 지리 일반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 간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의 이해도, 학교 현장에서의 교수·학습 실행 상황을 비교하여 세계시민교육의 방향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직 지리 교사들과 타교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및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나아가 타교과를 사회과(지리과 제외) 및 사회과 외 타교과로 세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교사들의 세계에 대한 인식, 잠재적 편견 정도, 잠재적 편견에 영향을 준 원인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알아보고 비판적 세계시민성의 관점에서 논하였다. 본 연구는 교사들의 세계시민교육 인식 연구를 구체화하여 지리 교사와 타교과 교사들의 세계시민성 및 세계시민교육에 대한 인식 차이를 밝혔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References
  1. 강순원, 2010, “다문화사회 세계시민교육의 평생교육적 전망”, 평생교육학연구, 16(2), 69-91.
  2.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7].
  3. 교육부, 2022, 사회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4. 구정화, 2013, “초등교사에게 나타나는 편견과 그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사회과교육, 52(4), 61-73.
  5. 권미경, 2023, “학교 다문화교육 교재에 관한 교사 요구 :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사 인터뷰를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44, 111-142. 10.15400/mccs.2023.06.44.04
  6. 김갑철, 2016, “세계 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51(3), 455-472.
  7. 김갑철, 2022, “학교 지리교실에서 비판적 세계시민성과 해체적 페다고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8(1), 118-132. 10.26863/JKARG.2022.2.28.1.118
  8. 김기남·김민성, 2021, “세계지리 시험 문항이 추동하는 지역 편견의 문제와 대안적 문항 구성 전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9(1), 119-132.
  9. 김다원, 2015, “세계시민교육(Global citizenship education)에서 ‘여행’의 교육적 의미 탐색”, 국제이해교육연구, 10(2), 131-162.
  10. 김민성, 2013,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 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사회과교육, 52(2), 59-72.
  11. 김민성·이윤구, 2023, “2022 개정 세계시민과 지리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2), 1-14.
  12. 김소순·조철기, 2010, “중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이데올로기 및 편견 분석-서남아시아 및 아프리카 단원을 중심으로”, 중등교육연구, 58(3), 87-112.
  13. 김이재, 2013, “어린이 세계그림지도책의 메타 지리적 특성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1-16. 10.17279/jkagee.2013.21.2.1
  14. 김이재, 2021a,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관한 비판적 성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9(2), 33-52.
  15. 김이재, 2021b, “한국 초등 사회과 교과서에 재현된 동남아 교수요목기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서술내용 분석”, 교육논총, 41(2), 271-287.
  16. 김창환·배선학, 2014, “수능 세계지리 문항에 제시된 국가의 공간 분포 분석”,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4), 193-202.
  17. 김춘식·채영길·정낙원, 2015, “한국 미디어의 아프리카 묘사 방식과 수용자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지역연구, 18(5), 219-252.
  18. 김태영, 2015, “질적 연구 방법을 사용한 자료 수집, 분석 및 논문 작성의 실제-인터뷰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대회, 9-14.
  19. 김현미, 2023, “2022 개정 중학교 「사회」지리 영역 교육과정의 개발 방향과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1), 29-44.
  20. 김현주, 2018, “TV 여행프로그램을 통한 세계 지역 학습의 가능성 탐색-세계테마기행과 꽃보다 청춘, 배틀 트립 속 ‘라오스’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4), 79-98.
  21. 도지민, 2020, 세계시민교육 관점에 따른 목표에 관한 초등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 및 교사의 중요도 및 실행도 인식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일수, 2021, “프로젝트 기반 협동학습이 예비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 교원교육, 37(4), 177-197.
  23. 박환보·조혜승, 2016,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54(2), 197-227.
  24. 박환보·임진영·박경희, 2020, “중등 예비교사의 세계시민의식 유형과 결정요인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5(1), 91-122. 10.35179/jeiu.2020.15.1.91
  25. 손명철, 2016, “세계지리 수업에서 여행기를 활용한 정의적 영역의 보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730-744.
  26. 심희정·김찬미, 2018, “세계시민교육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8년 등재학술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교육(KEDI), 45(3), 1-28.
  27. 원요한·임은진, 2021, “‘비판적 경계 읽기’ 수업을 통한 세계시민교육 방안 연구”, 한국지리학회지, 10(1), 51-65. 10.25202/JAKG.10.1.4
  28. 유수진, 2018. “지리수업에서의 공감적 관점채택이 글로벌 시민성 함양에 미치는 효과 : 외국인 근로자에 관한 편견을 사례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9. 윤노아, 2022, “사회과 수업에 나타난 세계시민성에 관한 비판적 분석”, 사회과교육, 61(1), 47-65. 10.37561/sse.2022.03.61.1.47
  30. 윤옥경·유수진, 2022, “초등학교 사회 ‘지리’영역 교육과정 시안 개발 방향”,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35-37.
  31. 이경한, 1996, “지리교육의 가치목표와 그 내용에 관한 고찰”, 대한지리학회지, 31(1), 38-48.
  32. 이경한, 2018,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3(2), 39-75. 10.35179/jeiu.2018.13.2.39
  33. 이성회·김미숙·정바울·박명·조윤정·송수희, 2015, “세계시민교육의 실태와 실천과제”, 한국교육개발원(KEDI).
  34. 이성회, 2016, “세계시민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인식과 현실적 딜레마”, 다문화교육연구, 9(2), 31-55.
  35. 이종일, 2009, “적극적 의미의 비판적 사고하기를 통한 반편견 교수방안”, 사회과교육, 48(4), 47-62.
  36. 장의선·이화진·박주현·강민경, 2016, “세계시민성에 관한 중학생과 교사의 인식 실태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8(3), 3-28.
  37. 정성경·기한솔·박환보, 2021, “교사의 세계시민교육 실천 관련 요인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6(2), 71-107. 10.35179/jeiu.2021.16.2.71
  38. 조성욱, 2018, “아프리카에 관한 지역인식 변화를 위한 지리교육과정 구성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1), 73-87.
  39. 조철기, 2012, “인간과 장소의 재현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와 편견”, 사회이론, 41, 195-223.
  40. 조철기, 2013,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62-180. 10.17935/Chinan.2013.19..1
  41. 조철기, 2017, “글로벌 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1), 178-194. 10.26863/JKARG.2017.02.23.1.178
  42. 조철기, 2022, 지리교육학, 푸른길.
  43. 지은림·선광식, 2007, “세계시민의식 구성요인 탐색 및 관련변인 분석”, 시민교육연구, 39(4), 115-134.
  44. 최정숙·조철기, 2009, “지리를 통한 세계시민성 교육의 전략 및 효과 분석-커피와 공정무역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39-257.
  45. 한예지, 2021, 설득메시지가 아프리카 지역에 관한 균형 잡힌 태도 함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6. 홍영란, 2023, 세계시민교육 관점에서 고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 사진 읽기,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7. 황규덕·박배균, 2019, “지리교육에서 장소 이해에 관한 관계적 전환의 필요성에 관한 소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1), 20-37. 10.26863/JKARG.2019.02.25.1.20
  48. Davies, L., 2006, Global citizenship: Abstraction or framework for action?, Educational review, 58(1), 5-25. 10.1080/00131910500352523
  49. Lee, D. and Ryu, J., 2013, How to design and present texts to cultivate balanced regional images in geography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112(4), 143-155. 10.1080/00221341.2012.715668
  50. Schemer, C., 2012, The influence of news media on stereotypic attitudes toward immigrants in a political campaign, Journal of communication, 62(5), 739-757. 10.1111/j.1460-2466.2012.01672.x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173~192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