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193~213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 location included in geography textbooks before Korea's liberation in 1945 and after liberation until the 1950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the Korean Peninsula and surrounding countries in eastern Asia, the ocean, and the mathematical location of the Korean were described. Secon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rom 1910 to the early 1930s, the situation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in eastern Asia was described statically, but from the mid-1930s to 1945, the Korean Peninsula was depicted as a weak rabbit, a continental advance base, and a dynamic relational position with a static location. Third, from liberation in 1945 to the 1950s, the contents of the mathematical location, excellent location, the tiger shape of the Korean Peninsula, historical rise and fall, and the front line of the free camp were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territory. As such, in Korean geography textbooks before and after liberation, the contents of the location of Korea differ depending on the political situation of Korea.
이 연구는 1945년의 한국의 해방 이전과,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 지리교과서에 수록된 국토 위치의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화기에는 아시아 동부의 한반도 및 주변의 국가와 해양, 그리고 한국의 수리적 위치가 기술되었다. 둘째, 일본 식민지 시대인 1910년부터 1930년대 전반까지는 아시아 동부의 한반도와 주변의 상황이 정태적으로 기술되었지만, 1930년대 중반부터 1945년까지는 한반도가 나약한 토끼 형상, 대륙전진기지, 정태적인 위치와 함께 동태적인 관계적 위치로 서술되었다. 셋째, 1945년의 해방 이후부터 1950년대까지는 수리적 위치, 우수한 위치, 한반도의 호랑이 형상, 역사적 성쇠, 자유진영의 최전선 등의 내용이 국토와 관련하여 제시되었다. 이처럼 해방 전후 한국의 지리교과서에는 국토의 위치에 대한 내용이 국가의 정치적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References
  1. 강대현·주재중, 1956, 우리나라지리, 홍지사.
  2. 강재호, 1957, 중학교 사회생활과 우리 나라 지리, 문화당.
  3. 권은주·김기남, 2023, “지리 교과 지식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위치’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31(3), 1-18.
  4. 김건중 역, 1907, 신편 대한지리, 보성관.
  5. 김상호, 1956, 중학교 사회생활과 우리 나라 지리, 일조각.
  6. 노도양, 1949,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 지리부분, 탐구당.
  7. 노도양, 1956,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 지리부분, 탐구당.
  8. 내무부 학무국, 1910, 구 학부 편찬 보통학교용 교과서 및 구 학부검정 및 인가 교과용 도서에 관한 교수상 주의 및 자구 정정표.
  9. 대동서관, 1908, 대한지리교과서, 보문사.
  10. 목수현, 2014, “국토의 시각적 표상과 애국 계몽의 지리학-최남선의 논의를 중심으로-”, 동아시아문화연구, 57, 13-39. 10.16959/jeachy..57.201405.13
  11. 문교부, 1946, 초중등학교각과 교수요목집 (4), 군정청 문교부.
  12. 문교부, 1948, 사회생활과 4학년 우리나라의 생활 (1), 조선서적인쇄주식회사.
  13. 문교부, 1955, 국민학교 교과과정, 문교부.
  14. 문교부, 1956, 사회생활 4-1, 대한문교서적주식회사.
  15. 박노식, 1956, 중학교 사회생활과 우리나라지리, 동국문화사.
  16. 박문서관편집부, 1908, 문답 대한신지지, 박문서관.
  17. 심정보, 2015, “태평양전쟁기의 일본 지정학 사상과 국민학교 지리교육”,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1-21. 10.17279/jkagee.2015.23.3.1
  18. 심정보, 2019,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전후 한국과 일본의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독도 인식”, 문화역사지리, 31(1), 149-181.
  19. 안송산·박관섭, 1956, 우리 나라 지리, 서울출판사.
  20. 안종화, 1910, 초등대한지리, 광덕서관.
  21. 육지수, 1947a, “運命의 陸橋的 朝鮮地位”, 경향신문.
  22. 육지수, 1947b, 우리나라, 동지사.
  23. 육지수, 1950,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의 생활(지리), 동지사.
  24. 육지수, 1956, 우리 나라 지리, 장왕사.
  25. 이봉수, 1956, 새로운 우리나라지리, 일한도서출판사.
  26. 이부성, 1950,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지리, 백영사.
  27. 이지호, 1956, 한국지리, 을유문화사.
  28. 이진수·지상현, 2022,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대한지리학회지, 57(5), 437-450.
  29. 임덕순, 1997, 정치지리학 원리, 법문사.
  30. 장보웅, 1970, “개화기의 지리교육”, 지리학, 5(1), 41-58. 10.1002/j.1834-4461.1970.tb01117.x
  31. 장지연, 1907, 대한신지지, 한양서관.
  32. 장창균, 1957, 중학교 사회생활과 우리나라지리, 대동문화사.
  33. 전라북도학무과, 1946, 초등지리교본, 임시교재연구회.
  34. 정 갑, 1949, 중학교 사회생활과 지리부분 우리나라, 을류문화사.
  35. 정인호, 1909a, 최신 초등대한지지.
  36. 정인호, 1909b, 최신 고등대한지지.
  37. 정홍헌·이기섭·이부성, 1946, 조선지리, 정음사.
  38. 정홍헌·이기섭·이부성, 1949, 사회생활과지리부 우리나라, 정음사.
  39. 조종만, 1907, 초등 대한디지, 한양셔관.
  40. 최복현, 1956, 국토지리, 민중서관,
  41. 최복현·이지호·김상호, 1949, 중등사회생활과 우리나라지리, 박문출판사.
  42. 최흥준, 1956, 중등지리 (1) 우리나라, 박문출판사.
  43. 학부, 1907, 보통학교 학도용 국어독본, 대일본도서주식회사인쇄.
  44. 학부편집국, 1895, 조선지지, 학부편집국.
  45. 현채, 1899, 대한지지, 광문사.
  46. 호머 헐버트, 1891, ᄉᆞ민필지.
  47. 金港堂書籍株式會社, 1893, 小學校用 外國地理, 金港堂書籍株式會社.
  48. 隈江信光, 1941, “國民科地理敎育の實踐”, 敎育硏究, 523, 85-91.
  49. 竹內裕一·笹山晴生·中村達也 外 37名, 2011, 中学社会 地理 地域にまなぶ, 教育出版株式会社.
  50. 田淵友彦, 1905, 韓國新地理, 博文館.
  51. 朝鮮總督府, 1914, 日本地理敎科書, 總務局印刷所.
  52. 朝鮮總督府, 1923, 普通學校地理補充敎材,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53. 朝鮮總督府, 1932, 初等地理書 卷一,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54. 朝鮮總督府, 1941, “國民學校令及び國民學校規程”, 朝鮮總督府官報, 4254, 255-264.
  55. 朝鮮總督府, 1944, 初等地理 第五學年, 朝鮮書籍印刷株式會社.
  56. 豊川善曄, 1935, 朝鮮鄕土地理, 日韓書房.
  57. 西尾幹二 外 13名, 2001, 新しい歴史教科書, 扶桑社.
  58. 日本社会科教育学会編, 2012, 社会科教育事典, ぎょうせい.
  59. 林潤平, 2020, 自然愛をめぐる教育の近代日本, 世織書房.
  60. 寳文館編輯所編纂, 1910, 尋常小學樺太滿洲朝鮮地理 附 外國地理大要, 寳文館.
  61. 文部省, 1943, 敎師用 初等科地理 上, 東京書籍株式會社.
  62. 矢津昌永, 1904, 韓國地理, 九善.
  63. 橫山昭市, 2014, 国際関係の政治地理学, 古今書院.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193~213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