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9,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8 February 2021. pp. 55-71
Abstract
This study is a work to supplement the contents of the coastal morphology of the South Coast in Korean Peninsula, which has been neglected because the textbook contents on the coastal morphology are described mainly in comparison between the East and West Coast. To this end, from the 3rd curriculum textbook to the current curriculum textbook,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oastal morphology of the South Coast were analyzed, and the main topics of inquiry about the coastal morphology of the South Coast were selected. The selected topics of inquiry are ‘from where to where the south sea is’, ‘whether the South coast is an uplifted or subsided coast’, ‘what are the major coastal morphology of the South Coast’, and ‘how are they formed through geomorphological processes’. Unlike the East and West Coast in terms of material balance, the South Coast, where shows indented coastline owing not only to the alternation of bays and headland ridges but also to the distribution of numerous isles, has little interference from materials supplied from other coastal areas. The main coastal sedimentary topography of the South Coast is sand beach, tidal flat, and gravel beach, and the other major coastal morphology are coastal terraces and sea cliffs. These various coastal morphology are the result of interaction between the types of bedrock and weathering characteristics, and the coastal topographic environment that appears as bay and headland.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 지형에 대한 교과서의 내용이 동해안과 서해안 비교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소홀하게 다루어 왔던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제3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부터 현재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남해안 해안 지형에 대한 주요 탐구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탐구주제는 남해는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인가, 남해안은 융기 해안인가 침강해안인가, 남해안의 주요 해안 지형은 무엇이며, 어떤 지형형성작용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등이다. 많은 섬과 만입의 출입이 복잡한 남해안은 물질 수지에 있어서 동해안이나 서해안과는 달리, 다른 해안지역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의 간섭이 적다. 이에 따라 남해안 만입의 물질 수지는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이 해안퇴적 지형에 뚜렷이 반영되어 나타난다. 남해안의 주요 해안퇴적 지형으로는 모래 해빈, 간석지, 자갈 해빈이 곳곳에 발달하며, 그 외의 주요 해안 지형으로는 해안단구, 해식애 등이 잘 발달한다. 이러한 다양한 해안 지형들은 기반암의 종류 및 풍화 특성, 만입과 돌출부로 나타나는 해안의 지형환경 등이 상호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이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고등학교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4).
  2. 권혁재・최영준・남영우・단춘배, 1989,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연구사.
  3. 기근도・이승호・전종한・윤옥경・송미숙・김태환・김훈・김민수, 2011,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학코퍼레이션(주).
  4. 김상호・최기엽・정수영・김홍, 1985, 고등학교 지리 I, 금성교과서(주).
  5. 김성환, 2009, "낙동강 삼각주연안 사주섬 퇴적환경 연구", 한국지형학회지, 16(4), 119-129.
  6. 김주환・최석진・홍현철・이강준・옥성일v김지호, 2011, 고등학교 한국지리, (주)교학사.
  7. 박철웅・김진수・조성호・강은희・이강준・김지현・백승진・최재희,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미래앤.
  8. 박충선・김유홍・남욱현・이광률, 2018, "서해안 및 남해안의 해안단구 연구와 융기율", 한국지형학회지, 25(4), 49-62. 10.16968/JKGA.25.4.49
  9. 변도성・최병주, 2018, "국내 대표 해양・수산 과학논문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주변 바다 이름표기에 대한 제언",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23(3), 125-151.
  10. 서찬기・최기엽・조화룡・한주성・정수영・김홍, 1995, 고등학교 공통사회(하) 한국지리, 금성교과서(주).
  11. 신정엽・김명철・김봉식・김영화・양희경・유상철・이경희・최재영・홍석민,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천재교과서.
  12. 양재혁, 2007a, "한반도 남해안의 해안지형 특색 및 발달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3. 양재혁, 2007b, "남해안 배후지역의 암석풍화가 해안지형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형학회지, 14(2), 83-99.
  14. 유성종・최병천・강성열・김덕일・우연섭・이우평・김시구・이훈정・엄주환・남길수・김차곤・이화영・이두현・강문철・윤정현・김진형・방완석,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비상교육.
  15. 이성순・지광훈・장동호・최성길, 2008, 위성에서 본 한국의 해안지형,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공공원격탐사 지상센터.
  16. 이윤화, 2005, "한국 서・남해안의 갯벌지형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이지호・황재기・이병설・권혁재・이기석, 1979, 인문계 고등학교 국토 지리, 문교부.
  18. 장학봉, 2003, "동・서・남해의 명칭과 범위의 통일화", 월간 해양수산, 224, 72-82.
  19. 조명희・조화룡, 1997, "한국의 간석지 분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3(2), 195-208.
  20. 조화룡, 1987, 한국의 충적평야, 교학연구사
  21. 최광희・이중효・신영규・박진영・서민환・최태봉・이재호・노환춘・정필모・김윤미・한새롬・유병호, 2009, "해안지역의 자연경관 특성 및 보전방안 연구(III) -남해안을 사례로-", 국립환경과학연보, 31, 551-560.
  22. 해양수산부 홈페이지, www.mof.go.kr/
  23. 황만익・이중우・최운식・장호, 1995, 고등학교 공통사회(하) 한국지리, (주)지학사.
  24. 황만익・최운식・장호・진기문・박병석・유대환・탁송일・황완길, 2002, 고등학교 한국지리, 지학사.
  25. 황재기・허우긍・성효현, 1996, 고등학교 공통사회 한국지리, (주)교학사.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9
  • No :1
  • Pages :55-71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