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3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0. pp. 15-26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egional geography unit in the Korea Geography subject of high school, based on 2015 National Curriculum and 3 Textbooks for Korea Geography.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nowledge domain is dominant, but value & attitude domain is nothing. Second, the unit includes only the research outcomes of ‘regional geography’ phase, not ‘new regional geography’ phase. In next National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Korea Geography, value & attitude domain is needed to increase more than now, and ‘new regional geography’ phase is needed to include much more.
본 연구는 현행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지역지리 단원을 분석하여, 지식‧기능‧가치 및 태도 영역 간 어느 정도 균형을 유지하고 있는가, 그리고 지리학계의 최근 지역지리 연구 성과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할 때, 과목의 성격과 목표, 교수‧학습 및 평가 부분에서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 간 균형을 명시적으로 강조하고 있으나 성취기준은 지식 영역이 압도적이며 가치‧태도 영역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3종 교과서 지역지리 단원에 제시된 학습활동에서는 지식 영역과 기능 영역이 거의 절반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가치‧태도 영역은 전무하다. 최근 지역지리 연구 성과의 반영 여부와 관련해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 모두 1970~80년대에 논의되었던 지역지리 성과를 반영하고 있을 뿐 이후의 신지역지리 논의와 연구 성과는 거의 수용하고 있지 않다. 향후 한국지리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지식과 기능 영역뿐만 아니라 가치‧태도 영역의 학습활동을 강화하고, 전통지역지리와 지역지리 연구 성과와 함께 최근 논의되고 있는 신지역지리 연구 성과도 포함할 필요가 있다.
References
  1. 강창숙, 2020,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 변천과 지역 단원 구성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2), 1-23.
  2. 강철성, 1989, “중학교 지역지리의 분석 –학습내용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21, 71-79.
  3.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
  4. 교육부, 2015b,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5. 권순덕, 1989, “세계 여러 국가의 지역지리교육에 대한 비교 분석”, 지리교육논집, 21, 97-113.
  6. 김다원, 2018,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61-274.10.25202/JAKG.7.3.2
  7. 김병연, 2017, “한국지리에서 ‘지역지리’의 위상에 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79-693.10.26863/JKARG.2017.11.23.4.679
  8. 김병연, 2018, “지역지리 교육에서 ‘지역’ 이해의 한계와 대안 탐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1), 222-236.10.26863/JKARG.2018.02.24.1.222
  9. 김일기, 1983, “지지교육의 제문제”, 지리학의 과제와 접근방법(석천 이찬박사 화갑기념논집), 교학사, 595-613.
  10. 류우익, 1986, “현대지리학의 이론과 실제 –지역지리학의 르네상스를 위한 소고”, 현대사회, 6(4), 246-263.
  11. 류우익, 1991, “국토지리: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9-264.10.1016/0360-1323(91)90047-F
  12. 류제헌, 1987, “미국 지리학에 있어서 지역개념의 발달”, 지리학논총, 14, 345-358.10.1559/152304087783875660
  13. 박배균, 2012, “한국학 연구에서 사회-공간론적 관점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대한지리학회지, 47(1), 37-59.
  14. 박배균‧김동완 엮음, 2013, 국가와 지역, 알트.
  15. 박선미, 2017,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지역 학습 내용과 그 조직방법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2(6), 797-811.
  16. 박영한, 1987, “국학으로서의 지리학: 현황과 방법의 모색”, 지리학, 35, 1-14.
  17. 박철웅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지리, 미래엔.
  18. (사)대한지리학회, 2016, 대한지리학회70년사: 1945~2015.
  19. 손명철, 1999, “지역지리연구의 새로운 접근법과 중등 지역지리단원 학습”, 백록논총, 창간호, 291-307.
  20. 손명철, 2000, “이른바 ‘나열식’ ‘암기식’ 지지교육의 빛과 그림자”, 지리세상, 2, 11-23.
  21. 손명철, 2004, “영국의 중학교(Key Stage 3) 지리교과서 체제와 내용 분석 –A Sense of Place(Oxford University Press) Series를 사례로-”, 지리교육논집, 48, 182-194.
  22. 손명철, 2014, “중학교 사회교과서의 학습활동 분석과 재구성 –현행 중학교 「사회①」교과서 지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3), 61-70.
  23. 손명철, 2017, “한국 지역지리학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53-664.10.26863/JKARG.2017.11.23.4.653
  24. 신정엽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지리, 천재교과서.
  25. 심광택, 2003, “지역 학습에서의 공간 설명‧장소 이해‧환경 가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3), 17-31.
  26. 심승희, 2017,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초등 사회과 한국지리 단원의 학습주제 및 내용 개발: 한강을 따라가는 우리나라 여행 지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1), 1-18.
  27. 안종욱‧김병연, 2016, “2015 개정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개발 과정과 주요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61-70.
  28. 유성종 외, 2020, 고등학교 한국지리, 비상교육.
  29. 이전, 2013, “한국‧미국 대학 지리학과의 학부과정 교과목에 대한 비교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8(2), 288-302.
  30. 이홍우, 1977, 교육과정탐구, 박영사.
  31. 이희열, 2008, “중등학교 지역학습의 구성원리와 내용 선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4(6), 752-766.
  32. 조성욱, 2018, “지역지리교육의 개념 논의와 방향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4), 542-556. 10.26863/JKARG.2018.11.24.4.542
  33. 조철기, 2018, 핵심 지리교육학, 푸른길.
  34. 진기문, 1989, “고등학교 지역지리의 분석”, 지리교육논집, 21, 80-96.10.1111/j.1600-0404.1989.tb01758.x
  35. 최병두, 2014,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1) 발달 배경, 연구 동향과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4), 357-378.
  36. 한국지역지리학회 엮음, 2019,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푸른길.
  37. 황규덕‧박배균, 2019, “지리교육에서 장소 이해에 대한 관계적 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1), 20-37.10.26863/JKARG.2019.02.25.1.20<
  38. Beddis, R., 1982, A Sense of Place Book 3: The Changing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39. Bunce, V., 1994, World Geography: Case Studi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40. Cooke, P., 1989, Localities: the Changing Face of Urban Britain, London: Unwin Hyman.
  41. Jessop, B., Brenner, N., and Jones, M., 2008, Theorizing sociospatial relations, Environment and Planning D: Society and Space, 26(3), 389-401.10.1068/d9107
  42. Warf, B,, 1988, The resurrection of local uniqueness, in Golledge, R., Couclelis, H. and Gould, P., eds., A Ground for Common Search, Santa Barbara, CA: Santa Barbara Geographical Press.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3
  • Pages :15-26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