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1 Vol.29, Issue 1

Research Article

28 February 2021. pp. 1-13
Abstract
The status of ‘Social Studies Inquiry (local textbook),’ a subsidiary textbook for social studies used in localized education, is changing.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practice localized education in these situation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teachers who had produced a teaching-learning resource book’ instead of a local textbook and lectured in fourth-grade social studies classes that were reorganized jointly with fellow teachers. They improved their literacy skills in their curriculum, pursued practical knowledge based on implementation, and operated a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PLC) with fellow teachers to effectively implement localized education. They adopted methods such as field-experience surveys and drawing map of their reg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gion. The teachers point out that it is unreasonable to set the learning target area as an administrative district unit that does not match the scope of the students' daily life experiences and to mechanically apply localized education to all social studies topics. They also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give financial an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securing the expertise of the person in charge of supporting localized education in a regional office of education.
이 연구는 지역화 교육의 구현물인 사회과 보조교과서 ‘사회과 탐구(지역화 교과서)’의 위상이 변하는 시기에 현장 교사들이 지역화교육을 어떻게 실행하는 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지역화 교과서 대신 ‘교수・학습 자료집’을 제작했거나 동학년 교사들과 사회과 4학년 수업을 재구성하여 운영한 사례를 탐구하며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지역화 교육을 보다 내실있게 실행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며, 실행에 기반한 실천적 지식을 추구하고, 동료교사들과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다. 교사들은 지역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장체험 답사와 우리 지역 지도 작성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대상지역을 학생들의 일상생활경험의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행정구역 단위로 설정하는 것과 지역화 교육을 모든 사회과 교과 내용에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무리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지역화 교육을 지원하는 지역교육청 담당자의 전문성 확보 등 행정 및 재정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References
  1. 강창숙, 2019, 사회과 예비교사의 수업관찰과 반성적 실천, 충북대학교 출판부.
  2. 곽병현, 2018, "'공감'과 '실천'으로 사회과수업 다시 읽기: 세 가지 사회과수업에 대한 반성적 성찰", 사회과교육연구, 25(1), 17-47.
  3. 김다원, 2018, "지역화교육을 위한 초등 사회과 지역교과서 내용구성 논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4(4), 557-573. 10.26863/JKARG.2018.11.24.4.557
  4. 김만곤, 2006, "초등학교 사회과 지역 교과서의 변천과 전망", 교과서연구, 47, 31-36.
  5. 김민하, 2015, "지역화 교육을 위한 충청도 음악문화의 교육적 접근", 국악교육연구, 9(1), 57-93.
  6. 김봉석, 2013, "만들어 가는 지역화 교재 개발 사례: 지명과 경관 변화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3(3), 109-121.
  7. 김순희, 2009,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01-121. 10.24211/tjkte.2009.26.2.101
  8. 김영석, 2003, "사회과에서 지역화 교육의 유형과 지역교재활용의 방식", 사회과교육, 42(1), 29-55.
  9. 김재일, 2008, "초등 사회과 공간 계열에 대한 인식도 연구", 사회과교육, 47(4), 35-38.
  10. 문은아, 2015, "초등학교 사회과에서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제주민속촌박물관을 사례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수미, 2006, "사회과 교사의 전문성과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과 태도",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박순경, 2010, "교육과정 '지역화'의 흐름과 자리매김", 교육과정연구, 28(3), 85-105. 10.15708/kscs.28.3.201009.004
  13. 박승규・김일기, 2001, "일상생활에 근거한 지리교과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36(1), 1-14.
  14. 박윤경・김미혜・장지은, 2020, "교사학습공동체를 위한 교육과정 문해력 프로토콜의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교사학습공통체의 이론과 실제, 교육공동체 벗, 96-134.
  15. 서경혜, 2009, "교사 전문성 개발을 위한 대안적 접근으로서 교사학습공동체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243-276.
  16. 송언근, 2019, "초등 사회과 지역 수준 교육과정과 지역 교과서의 발달: 대구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1), 1-19. 10.26863/JKARG.2019.02.25.1.1
  17. 심정아, 2017,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의 구성 체제 및 활용실태: 2009 개정 초등 3, 4학년 서울시 지역화 교과서를 사례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윤옥경, 2004, "地域에 대한 學習 內容 構成에 관한 硏究", 대한지리학회지, 39(1), 153-168.
  19. 윤옥경, 2007, "지역화 교과서 분석을 통한 지역 학습 내용 구성 방안",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2), 220-233.
  20. 윤옥경, 2017, "초등 사회과 지역화 학습에서 교사의 자기주도적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PDS 구축 연구: 대학과 현장의 협력 PLC 활동을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15-27.
  21. 윤옥경・심승희, 2020, "청주시를 사례로 한 지역화 학습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초등 사회과 지역 교과서의 위상 변화 탐색을 기반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학교와 수업연구, 5(1), 43-69.
  22. 이민부・김정혁・최훈, 2014, "자연지리 답사를 통한 지역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미호천 유역 하천지형을 사례로", 한국지형학회지, 21(4), 53-67. 10.16968/JKGA.21.4.4
  23. 이승미・이병천・백경선, 2019,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가, 시・도, 학교 수준 교육과정 거버넌스의 실태 분석 연구", 敎育問題硏究, 32(3), 189-221.
  24. 임한철, 2013, "초등 지역화 학습을 위한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청주-청원 지역을 중심으로",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조덕주, 2006, "교사의 반성적 교육실천을 위한 이론적 기초탐구", 한국교육학회 교육학연구, 44(2), 105-133.
  26. 조성욱, 2002, "지리교육에서 주변지역학습의 교육적 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25-39.
  27. 홍미화, 2020, 사회과 수업과 교사 지식, 춘천교육대학교 출판부.
  28. Huizen, P. V., Oers, B. V. and Wubbleds, T., 2005, A Vygotskian perspective on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3), 267-290.10.1080/0022027042000328468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9
  • No :1
  • Pages :1-13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