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1-23
Abstract
In this study, the chang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of Korean Geography in high school were analyzed from the syllabus period to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It focuses on internal demand aspects and external influence asp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tent organization of Korean Geography was composed of systematic geography centered on human geography after 『Geography I』 in the second period. Until the second period, 『Geography I』 was composed of the traditional regional geography, and in the fourth period, 『Geography II』 was changed to a regional geography method. Second, in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Geography was changed to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Our Country Geography』→ blank period for Our Country Geography→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National Geography』→chaotic period of National Geography→ a compulsory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and elective subject period of 『Korean Geography』. Third, in the systematic geography-centered content organization, regional geography was composed of one or two units, including ‘geography of living in each region,’ which is a key topic, or in conjunction with ‘the meaning of the region and regional classification’ or ‘unification and division of national territory.’ Finally, the regional classification was centered on functional regions, but in actuality was based on administrative districts. The regional names according to regional classification were made up of different names, such as different hierarchical names, at different times when it wa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their regional scope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본 연구는 교수요목기부터 현행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지역 단원 구성, 지역 구분 등 내재적 측면과 사회과 편제 등 외재적 측면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국지리는 제2차 교육과정기 『지리 I󰡕부터 인문지리 중심의 계통지리로 구성되었다. 지역지리 단원은 제2차 시기 『지리 I󰡕까지 전통 지역지리(지방지) 체계로 구성되었고, 제4차 시기 『지리 II󰡕부터 지역지리 체계로 변화되었다. 둘째, 국가 교육과정에서 한국지리는 『우리나라 지리』 필수 과목기→우리나라 지리 학습 공백기→『국토지리』 필수 과목기→국토지리 학습 혼란기→『한국지리』 필수 과목기→『한국지리』 선택 과목기로 변천되었다. 셋째, 계통지리 중심 내용 체계에서 지역지리는, 핵심 주제가 되는 ‘각 지역의 생활’이 1개 단원으로 포함되거나, ‘지역의 의미와 지역 구분’ 혹은 ‘국토 분단과 통일’단원과 연계되어 2개 단원으로 구성되었다. 마지막으로, 지역 구분은 기능 지역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그 실제는 행정구역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지역 구분에 따른 지역 명칭은 그 범위와 지역성을 가늠하기 어렵게 명명되거나 위계가 다른 명칭이 혼용되었다.
References
  1. 강대현, 1976, (인문계 고등학교) 지리 I, 교학사.
  2. 강대현, 2015,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양상: 교수요목기에서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사회과교육, 54(1), 63-89.
  3. 강대현‧모경환, 2013,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의 과정과 양상: 2007,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와 실천, 79, 1-23.
  4. 강창숙, 2017a, “미군정기 중학교 지리과 교수요목의 내용과 특징”, 대한지리학회지, 52(2), 245-263.
  5. 강창숙, 2017b, “교수요목에 의거한 고급중학교 지리교과서 『자연환경과 인류생활』의 내용체계와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51-68.
  6. 강창숙, 2019, “미군정기 초급중학교 『우리나라 지리』 교수요목과 검정교과서 내용체계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2), 37-58.
  7.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정과, 2011, 사회교과 소위원회 교육과정심의회 회의자료(2011년 7월 19일).
  8. 교육과학기술부, 2009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별책 1).
  9. 교육과학기술부, 2009b,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10호 별책 7).
  10. 교육과학기술부, 2009c,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에 따른).
  11. 교육과학기술부, 201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사회(역사)(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 41호에 따른).
  12.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사회(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7).
  13. 교육과학기술부, 2012, 사회과 교육과정(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4호 별책 7).
  14. 교육과학기술부장관, 2012,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2-17호(2012년 8월 29일)
  15. 교육부, 1997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1).
  16. 교육부, 1997b,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1997-15호 별책 7).
  17. 교육부, 1999, 초‧중‧고등학교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 기준: 총론(1954~1997).
  18. 교육부, 2000, 초‧중‧고등학교 사회과‧국사과 교육과정 기준(1946-1997).
  19. 교육부, 2015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20. 교육부, 2015b, 사회과 교육과정(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7).
  21. 교육인적자원부, 1999, 제7차 사회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서.
  22. 교육인적자원부, 2001,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총론),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3. 교육인적자원부, 2007a,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1).
  24. 교육인적자원부, 2007b, 사회과 교육과정(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 별책 7).
  25.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http://ncic.re.kr/2020.3.31.)
  26. 권혁재, 1991, “국토지리: 왜 배워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3-258.
  27. 김다원, 2018, “초등학교 지리교육과정에서 지역학습 구성 방식과 내용구성 변화 분석”, 한국지리학회지, 7(3), 261-274.
  28. 김만곤, 1985, “지리학습에 있어서의 취락 단원 연구: 초‧중‧고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지리학연구, 10, 801-823.
  29. 김병연, 2017, “한국지리에서‘지역지리’의 위상에 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79-693.
  30. 김상호‧단춘배, 1976, (인문계 고등학교) 지리 I, 문천사.
  31. 김일기, 1976, “HSGP와 우리나라 고교지리의 비교연구: 도시단원를 중심으로”, 지리학과 지리교육, 6(1), 1-28.
  32. 노희방, 1997, “제7차 사회과 교육과정 지리영역 개발보고:‘제7차 지리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에 대한 의견”, 지리환경교육, 5(2), 143-150.
  33. 대한지리학회, 1991, 학술토론회 자료집: 21세기를 준비하는 지리교육의 방향(1991년 10월 25일)
  34. 류우익, 1991, “국토지리: 어떻게 가르쳐야 하나”, 대한지리학회지, 26(3), 259-264.
  35. 류재명, 1997, “제7차 지리과 교육과정의 체제개발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32(1), 113-124.
  36. 류재명‧서태열, 1997, “제7차 지리교육과정 개발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앞으로의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5(2), 1-28.
  37. 문교부, 1948, 초, 중등학교 각과 교수요목집(4) 중학교 사회생활과.
  38. 박선미, 2017,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지역 학습 내용과 그 조직 방법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2(6), 797-811.
  39. 손명철, 2017, “한국 지역지리학의 개념 정립과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53-664.
  40. 심승희, 2010, “초등 지리교육에 적합한 위치 학습의 내용과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347-364.
  41. 심승희, 2017, “새로운 교육과정을 위한 초등 사회과 한국지리 단원의 학습 주제 및 내용 개발: 한강을 따라가는 우리나라 지리 여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1), 1-18.
  42. 안종욱, 2016, 지리교육과정의 기원을 읽다, 푸른길.
  43. 육지수, 1956, (고등학교 사회과) 인문지리, 장왕사.
  44. 이종국, 2008, 한국의 교과서 변천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45. 이지호, 1956, (고등학교 사회과) 인문지리, 을유문화사.
  46. 이찬‧김연옥‧서찬기‧황재기‧류우익, 1987, (고등학교) 지리 II, 교학사.
  47. 임덕순, 1979, “지리 교수용 제 기본개념의 결정: 지리 교육과정 구성을 위한 논의”, 지리학과 지리교육, 9, 306-314.
  48. 임유나, 2015, 국가교육과정기준 총론의 형식과 내용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9. 전종한, 2018, “글로벌 시대의 통일 한국에 호응하는 <국토지리> 교육의 정향”, 글로벌교육연구, 10(3), 3-26.
  50. 조성욱, 2002, “지리교육에서 주변지역 학습의 교육적 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25-39.
  51. 최병두, 2014, “한국의 신지역지리학(1): 발달 배경, 연구 동향과 전망”,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0(4), 357-378.
  5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고등학교 도덕/사회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연구, 연구 보고 CRC 2009-44.
  53. 한국지역지리학회 엮음, 2019, 새로운 지역지리학과 지리교육, 푸른길.
  54. 홍순완‧예경희, 1973, “한국 지리학습의 지역 구분”,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집, 4, 29-42.
  55. 한겨레 신문, 2015년 3월 16일자(http://www.hani.co.kr/2020. 05.05.)
  56. Gersmehl, Philip, 2008, Teaching Geography,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1-23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