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3

Research Article

31 August 2020. pp. 1-14
Abstract
This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world geography in the whole geography have increased as the contents of ‘peace and development of the global village’ and ‘sustainable global village’ appeared as independent units. Second, The contents of the world's physical geography were reduced to the topography and climate contents of some national units selected from the topography and climate contents that can be seen at the earth level. Third, In the early days of the curriculum, the whole world was included in the world geography contents, but recently it was limited to countries close to Korea. Fourth, the contents related to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issues were diversified and increased from the international efforts for international peace and our attitude to the international society to global village problems and solu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issues, and efforts for global peace. In this change, we need to discuss the future approach to global citizenship and global challenges based on geographical context.
1차 교육과정에서부터 현행 2015개정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초등사회과 지리영역에서 세계지리의 비중 그리고 세계지리 내용의 변화상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지리영역에서 세계지리 단원은 현행 교육과정으로 오면서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 ‘지속가능한 지구촌’ 등이 독립적인 단원으로 등장하면서 전체적인 내용은 증가하였다. 둘째, 세계 자연지리 내용에서는 지구차원에서 살펴볼 수 있는 지형 내용은 선정된 일부 국가 단위의 지형 내용으로 변화되었다. 셋째, 교육과정 초기에는 전체 세계지역이 세계지리 내용에 포함되었으나 최근에 들어서면서 우리나라와 가까운 국가들에 한정되었다. 넷째, 글로벌 시민성 및 글로벌 이슈 관련 내용은 국제평화를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과 우리의 자세 중심에서 지구촌 문제 및 해결, 지속가능발전 과제, 지구촌 평화를 위한 노력에 이르기까지 관련 내용의 다양화와 증가가 있었다. 이러한 변화에서 향후 지리적 정체성 확보와 지리적 맥락에 기반한 글로벌 시민성 및 글로벌 과제해결에의 접근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하겠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2015개정 사회과교육과정, 교육부.
  2. 권정화, 1997, 지구화 시대의 국제이해교육: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 지리적 상상력의 의의, 지리교육논집, 37, 1-12.
  3. 김갑철, 2016, “세계시민성 함양을 위한 지리교육과정의 재개념화”, 대한지리학회지, 51(3), 455-472.
  4. 김갑철, 2019, “글로벌 시대 지리학습의 의미와 방향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1), 69-85.
  5. 김갑철·조철기, 2017, “글로벌 차원의 정의를 지원할 지리교육 실천 방안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5(3), 37-50.
  6. 김다원, 2008, 세계 지역에 대한 위치 지식과 위치 학습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7. 김다원, 2016,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 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4), 13-28.
  8. 김민성, 2013, “비판적 세계시민성을 통한 지리교과서 재구성 전략: 르완다를 사례로”, 사회과교육, 52(2), 59-72.
  9. 김이재, 2013, “어린이 세계그림지도책의 메타 지리적 특성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1-16.
  10. 류재명, 1992, 우리의 삶터를 아름답게, 서울:한울.
  11. 박선미, 2013, “지구적 문제에 관한 실천적 참여의 의미와 교육 방향 검토 -공정무역에의 윤리적 소비자 참여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2), 69-85.
  12. 박선희, 2009, “다문화사회에서 세계시민성과 지역정체성의 지리교육적 함의”,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4), 478-493.
  13. 서주실, 2011, “초등학교 세계지리 단원의 내용조직 방법”, 글로벌교육연구, 3(2), 45-74.
  14. 송언근, 김재일, 2002, “초등학생들의 세계에 대한 인지 특성과 세계지리 교육과정 구성의 전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8(3), 364-379.
  15. 심광택, 2012, “시민성 교육 관점에서 한국‧중국‧일본‧호주의 중학교 지리교육과정, 교과서 살펴보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0(2), 53-68.
  16. 심광택, 2020, “지속가능성 및 세계시민성을 지향하는 사회(지리)과 미래 학습의 논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8(1), 1-17.
  17. 이경한, 2008, “초등학생의 세계 포섭관계의 이해도 발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4), 365-376.
  18. 이경한, 2015a, “지리 문해력을 통한 국제이해교육 실천하기”, 모두를 위한 국제이해교육, 서울: 살림터, 326-341.
  19. 이경한, 2015b, “유네스코 세계시민교육과 세계지리의 연계성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0(2), 45-75.
  20. 이경한, 2018, “세계시민교육의 관점에서 세계지리와 여행지리 교육과정의 비판적 분석”, 국제이해교육연구, 13(2), 39-76. 10.35179/jeiu.2018.13.2.39
  21. 이동민, 2014, “초등지리 교육과정에 반영된 세계시민교육 관련 요소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한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49(6), 949-969.
  22. 이민부·김걸, 2017,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리교육의 역량 고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3), 97-107.
  23. 이태주, 김다원, 2010, “지리교육에서 세계시민의식 함양을 위한 개발교육의 방향 연구”, 대한지리학회지, 45(2), 293-317.
  24. 조성욱, 2019, “세계지리 교육에서 세계전략 학습의 유용성과 구성 방안”,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4), 39-53.
  25. 조철기, 2013, “글로벌 시민성교육과 지리교육의 관계”,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1), 162-180.
  26. 최정숙, 조철기, 2009, “지리를 통한 세계 시민성 교육의 전략 및 효과 분석 -커피와 공정무역을 사례로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39-257.
  27. Commission on Geographical Education of International Geographical Union, 1992, International Charter on Geographical Education, IGU(이경한 역, 1992, “국제 지리교육 헌장”, 지리‧환경교육, 3(1), 85-97.
  28. Graves, N., 1980, Geography in Education, London : Heinemann Educational(이희연 역, 1984, 지리교육학 개론, 교학연구사).
  29. Haubrich, H., Reinfried, S., Schleicher, Y., 2007, Geographical Views on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Proceedings of the Lucerne-Symposium, Switzerland, Geographiedidaktische Forschungen, Volume 42, 243-250.(이종원 역, 2007,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지리교육 선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6), 291-296.) 10.17279/jkagee.2008.16.3.291
  30. Marsden, W., 1997, On Taking the Geography out of Geographical Education: Some Historical Pointers in Geography, Geography, 82(3), 241-252.
  31. Pattison, W. D., 1964, The four traditions of geography, Journal of Geography, 63(5), 211-216. 10.1080/00221346408985265
  32. Standish, A., 2009, Global Perspectives in the Geography Curriculum, London & NewYork: Routledge(김다원‧고아라 역, 2015, 글로벌 관점과 지리교육, 푸른길). 10.4324/9780203890837
  33. 한국교육과정평가원, http://ncic.re.kr/mobile.kri.org4.inventory List.do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3
  • Pages :1-14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