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25-38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improvement of geography curriculum to cultivate citizens for peace in the Korean Peninsula. First of all, the literature on unification education was reviewed theoretically, and the trend of research on unification education was categorized into ‘unification education as anti-community education’ and ‘unification education as peace education’. Next, from the perspective of unification education as a peace education, the ideal portrait of human being pursued by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in geography education was set as the Korean Peninsula peace citizens, and sensitivity for Korean Peninsula peace, peaceful practical competence, and multi-scalar inquiry competence were presented as competence for the Korean Peninsula peaceful citizens. Based on these, the improvement plan of the geography curriculum wa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contents related to North Korea and unification in quantitative aspects. Second,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what North Korea actually is without distortion of boundaries and place names forming the basis of geography. Third, geography curriculum should be widen from South Korea geography to South and North Korea geography in terms of content knowledge. Fourth,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content elements that can cultivate peaceful practical competence. Lastly, a multi-scalar approach to the peace and unification is needed.
본 연구는 한반도 평화시민 양성을 위한 지리과 교육과정 개선방안을 탐구하였다. 먼저 통일교육 문헌을 이론적으로 검토하여 통일교육 연구 경향을 ‘반공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과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으로 범주화하였다. 그 다음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관점에서 지리과 평화․통일교육이 추구하는 인간상을 한반도 평화시민으로 설정하고, 한반도 평화 감수성, 평화적 실천 역량, 다중스케일적 탐구 역량을 한반도 평화시민이 갖추어야 할 역량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평화시민 양성을 위한 지리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양적인 측면에서 북한 및 통일 관련 내용 비중을 과거 수준으로 회복하여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지리 지식의 기초인 ‘경계’와 ‘지명’에 대한 왜곡 없이 있는 그대로의 북한 지역 이해가 요구된다. 셋째, 내용 지식 측면에서 남한지리에서 남․북한 지리 지식으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넷째, 평화적 실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 요소를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평화와 통일 국토에 대한 다중스케일적 접근이 요구된다.
References
  1. 강경원, 2015, 한반도의 개념과 내재적 문제, 문화역사지리, 27(3), 1-17.
  2. 고병헌․임정아․김찬호․정지석․강정숙, 2007, 평화교육의 개념과 내용체계에 관한 연구, 통일부 통일교육원 용역보고서.
  3.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개정 고시(제2011-361호, 11.08.09)에 따른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4. 교육부, 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http://ncic.go.kr/
  5. 교육부, 2016,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편찬상의 유의점 및 검정기준.
  6. 김기혁, 2016,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5), 713-737.
  7. 김국현․변종헌․이인재․박보람․문경호․최선, 2018, 통일교육 관련 초․중․고 교육과정 개선방안 검토, 한국교원대학교.
  8. 김민성․김진숙․박수련, 2017, 북한의 2013년 개정 지리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3), 69-83.
  9. 김병연, 2019,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학교 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윤리연구 126, 307-332.
  10. 김재완, 2003, 남북한 중등지리 교과서의 비교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9(2), 153-168.
  11. 김재한, 1994,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의 통일지향적 개선방안 모색, 지리학논총 23, 1-11.
  12. 김정호, 2005,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 개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3. 문교부, 1955, 중학교 교과과정, 문교부령 제45호 별책. http://ncic.go.kr/
  14. 문교부, 1963,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령 제 121호, http://ncic.go.kr/
  15. 문교부, 1981, 고등학교 교육과정, 문교부 고시 제442호 http://ncic.go.kr/
  16. 모경환, 2015, 사회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C2015-5.
  17. 문남철, 2017, 남부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에 주는 시사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2017.5, 311-324.
  18. 박광철․림일․김정현․한승철․최현수, 2013, 조선지리(초급중학교 1학년용), 교육도서출판사.
  19. 박광철․최현수․지국철․김성민․김정현, 2015, 조선지리-초급중학교 3학년, 교육도서출판사.
  20. 박배균, 2017, 동아시아에서 국가의 영토성과 예외적 공간-동아시아 특구의 보편성과 특수성,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2), 288-310.
  21. 박배균, 김민환, 2015, 단절과 이동의 변증법과 금문 지역경제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27(2), 79-102.
  22. 박보영, 2004, 평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통일교육, 미래교육연구, 17(2), 55-70.
  23. 박보영, 2005, 평화적 사유를 통한 교육 이해의 지평, 미래교육연구, 18(1), 71-93.
  24. 박보영, 2009, 평화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방안의 탐색, 교육사상연구, 23(1), 81-96.
  25. 박찬석, 2002,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 그 대안에 관한 연구, 시민교육연구, 34(1), 139-159.
  26. 손용택, 2004, 남․북한 지리교과서 내용 구성의 체제 탐색과 대 북미관, 지리학 연구, 38(3), 199-214.
  27. 신봉철, 2017, 보이텔스바흐 합의가 한국 교육계에 주는 시사점, 통일교육연구, 14(2), 1-14.
  28. 오덕렬, 2018, 남북 교류․협력 시기 통일 교육의 새로운 실천을 위한 비판적 실행연구- 통일교육원의 ‘찾아가는 학교통일교육’을 중심으로, 교육인류학 연구, 21(4), 239-276.
  29. 오덕렬, 2019, 평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평화교육으로서의 통일교육 연구, 인격교육 13(1), 75-107.
  30. 양정훈, 2007, 통일교육의 변천 과정과 발전적 과제, 통일문제연구, 19(2), 373-401.
  31. 이광우․전제철․허경철․홍원표,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교육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9-10-1.
  32. 이근철․오기성, 2000, 통일교육론, 엑스퍼트월드..
  33. 이민부․김 걸, 2016, 통일지리학의 연구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6), 873-892.
  34. 이전, 2005, 북한의 지리교과서에 대한 일고찰-북한의 고등중학교 지리교과서 1990년판과 2000년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6), 607-619.
  35. 이진석, 2011, 사회(일사-지리)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36. 이동기․송영훈, 2014, 평화통일교육 추진전략 연구,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37. 이승욱, 2016, 개성공단의 지정학- 예외공간, 보편공간 또는 인질공간?, 공간과 사회, 26(2).
  38. 이승욱, 2018,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경기도 파주시 대북전단살포 갈등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3(5), 625-647.
  39. 이상근, 2016, 한국사회의 통일론과 신지정학적 인식, 동서연구, 28(3), 149-175.
  40. 이상균․권정화, 2017, 김정은 시대 북한 지리교과서의 변화 방향과 내용구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163.
  41. 이진석, 2011 사회(일사-지리)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안 개발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11년 정책연구개발사업.
  42. 이현주, 2018, 한반도 신경제구상의 북방경제 협력방안, 국토연구
  43. 전종한, 2018, 글로벌 시대의 통일한국에 호응하는 국토지리 교육의 정향, 글로벌교육연구, 10(3), 3-26.
  44. 정근식․김윤애, 2015, 공단 밖의 변화- 개성주민과 북한사회, 김병로․김병연․박명규, 개성공단- 공간평화의 기획과 한반도형 통일 프로젝트, 진인진.
  45. 정용민, 2018, 평화 시대를 여는 학교통일교육의 과제, 교육정책포럼, 303, 한국교육개발원.
  46. 정주진, 2019, 평화학의 시각으로 본 평화․통일교육, 통일부․교육부, 제7회 통일교육주간 프로그램 북.
  47. 정현백, 2019,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과제- 통일․안보교육에서 평화․통일교육으로, 통일부․교육부, 제7회 통일교육주간 프로그램 북.
  48. 정현주, 2018, 공간적 프로젝트로서 통일-개성공단을 통해 본 통일시대 영토성에 대한 관계적 이해,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1), 1-17.
  49. 정희태, 2010, 학교 통일교육의 변천과정과 방향, 통일전략, 10(2), 37-92.
  50. 정현백, 2019,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과제- 통일․안보교육에서 평화․통일교육으로, 통일부교육부, 제7회 통일교육주간 개막식 및 평화․통일교육 컨퍼런스 프로그램 북, 통일부 통일교육원.
  51. 조정아, 2007, 통일교육의 쟁점과 과제, 통일정책연구 16(2), 286-290.
  52. 지상현․이승욱․박배균, 2019, 한반도의 신지정학- 경계, 분단, 통일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 한울.
  53. 최석진․남상준․류재명․손용택․이동엽, 2000, 북한 고등중학교 지리 교과서 분석 연구, 사회과교육 (33), 283-308.
  54. 통일교육원, 2014, 2014년 학교통일교육 실태조사.
  55. 통일교육원, 2018, 평화․통일 교육: 방향과 관점.
  56. 한만길, 2001, 통일교육의 이론과 실천, 교육과학사.
  57. 한봉희, 1993, 북한의 세계지리 교과서 분석, 사회과교육 (26), 161-167.
  58. 황인표, 2014, 통일교육론, 울력.
  59. Freire, P., 2000, Pedagogy of the Oppressed-30th Anniversary Edition(남경필 역, 2002, 페다고지, 그린비).
  60. Galtung, J., 1996, Peace by Peaceful Means, Sage(이재봉․강종일․ 임성호․김승채․정대화 역, 2000, 평화적 수단에 의한 평화, 들녘).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25-38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