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125-144
Abstract
This article is to study forms and contents of geography assessment of Australia. Each State of Australia has its own systematic and detailed guidelines of the assessment for each grade and subject, aiming to achieve their intention of making competencies-centered curriculum. All States underline in common the evaluation on the geographical inquiry methodologies; geographical investigation and communication, geographical tools and skills, and most importantly, all states make it obligatory to evaluate the fieldwork activities. On the other hands, each state has its own distinctive feature of geography assessment in accordance with its own geographical background and historical tradition. For example, states located in the eastern/southeastern part of the country tend to focus on the extrinsic value, human geography and indoor works compared to the states located in the western/middle part of the country. Also, the further located from the core regions of industry and population, the more colorful and abundant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 geography assessment appeared to be in a unique spatial patterns.
본 연구는 지리교육의 변화를 선도하고 있는 오스트레일리아 각 주의 지리평가 특성을 형식 및 내용 면에서 비교 고찰한 것이다. 오스트레일리아의 모든 주에서는 학년별, 주제별로 평가내용 및 방법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지리평가 체제를 마련해 놓음으로써 역량중심교육과정의 취지를 달성하려 노력하고 있었다. 6개 주 모두 지리 조사 및 의사전달, 지리 도구 및 실기 능력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는 가운데, 특히 야외조사 활동에 대한 평가가 의무화하여 있었다. 그렇지만 각 주마다 지리적 배경과 역사적 전통에 따라 지리평가에서 차별성도 나타났다. 곧, 서부와 중부의 주들보다 동부와 동남부에 위치한 주들이 상대적으로 지리교육의 외재적 가치, 인문지리적 주제, 실내조사 활동과 관계 깊은 지리 평가의 비중이 높았다. 반면에 오스트레일리아의 인구 및 산업의 중핵지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리평가의 형식과 내용이 다채롭고 풍요로운 독특한 공간적 패턴이 나타나고 있었다.
References
  1. 김다원, 2016, “세계시민교육에서 지리교육의 역할과 기여-호주 초등 지리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4), 13-28.
  2. 김현미, 2013, “21세기 핵심역량과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16.
  3. 김현미, 2014, “오스트레일리아의 핵심역량 기반 국가 수준 지리 교육과정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33-43.
  4. 박선미, 2018, “행복의 의미와 조건에 관한 논의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리교과서의 행복 내용 분석”,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2), 63-80.
  5. 조철기, 2013a, “오스트레일리아 NSW 주 지리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발교육 특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9(3), 551-565.
  6. 조철기, 2013b, “오스트레일리아 빅토리아 주 지리교육과정과 내러티브 지리교과서의 특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1), 49-63.
  7. 이경한, 2004, 사회과 지리 수업과 평가, 교육과학사, 155-159.
  8. 남상준, 2005, 지리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16-27/222-225.
  9. 서태열, 2005, 지리교육학의 이해, 한울아카데미, 61-69/72.
  10. Bloom, B. S.(ed.), 1956, 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Vol. 1: Cognitive Domain. New York: McKay.
  11. BSSS, 2014, Geography Integrating Australian Curriculum A/T/M, http://www.bsss.act.edu.au.
  12. NSWESA, 2017, Assessment and Reporting in Geography Stage 6, https://educationstandards.nsw.edu.au.
  13. QCAA, 2019, Geography 2019 v.1.1 General Senior Syllabus, https://www.qcaa.qld.edu.au.
  14. SACEBSA, 2016, Geography 2019 Subject Outline Stage 1, 2, https://www.sace.sa.edu.au.
  15. TASC, 2019, Geography Level 3, https://www.tasc.tas.gov.au.
  16. VCAA, 2014, Victorian Certificate of Education Geography Study Design, https://www.vcaa.vic.edu.au.
  17. WASCSA, 2012, The Western Australian Certificate of Education 2015; Responding and adapting, https://www.scsa.wa.edu.au.
  18. WASCSA, 2017, Geography ATAR Course Year 12 syllabus, https://www.scsa.wa.edu.au.
  19. WASCSA, 2018, Summary Report of the 2018 ATAR Course Examination Report: Geography, https://www.scsa.wa.edu.au.
  20. WASCSA, 2019, Geography ATAR Course Examination 2019 Marking key, https://www.scsa.wa.edu.au.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125-144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