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4 Vol.32, Issue 1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29 February 2024. pp. 113~1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design and implement a class program based on this, and analyze the process to reveal the implica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To this end, the meaning of social justice education, which is being approached in various ways, was reconceptualized, and the direction of social justice education to be pursued in the Department of Geography was set by analyzing and synthesizing the survey results for geography teachers. In addition, by designing a class program reflecting this analysis of direction and learner needs, and analyzing the results after applying the program, the value of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was discus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eacher perceptions of social justice education, most teachers were interested in social justice education, and it was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practice social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because social injustice and inequality are deeply related to geographic phenomena. Also, as a result of the program’s implementation, students became more aware of social justice and understood that it was closely related to cultural recognition as well as economic differenc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d to understanding that social justice was closely related to the geography subject by interpreting the problem of inequality experienced by social minorities from a ‘space perspectiv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follow-up programs so that social justice education centered on geography can be practiced not only in class but also in everyday life.
본 연구는 지리과에서의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고, 이를 근거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 및 실행한 후 그 과정을 분석하여 지리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지닌 함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하게 접근되고 있는 사회 정의 교육의 의미를 재개념화하였으며, 지리 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를 분석종합하여 지리과에서 지향해야 할 사회 정의 교육 방향을 설정하였다. 또한 이러한 방향 및 학습자 요구 분석을 반영한 수업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프로그램 적용 후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지리 교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이 가진 가치를 논하였다. 사회 정의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결과, 대부분의 교사가 사회 정의 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회 부정의 및 불평등이 지리적 현상과 관련이 깊기 때문에 지리 교과에서 사회 정의 교육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실행 결과, 학생들은 사회 정의를 보다 분명하게 인식하게 되었고, 경제적 차이 뿐만 아니라 문화적 인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하였다. 또한, 사회적 소수자가 겪는 불평등 문제를 ‘공간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사회 정의를 지리 수업을 통해 학습하는데 본 프로그램이 기여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 지리과가 중심이 된 사회 정의 교육이 수업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후속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강지영·소경희, 2021, “국내 교육 관련 실행연구(action research) 동향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2(3), 197-224.
  2. 교육부, 2018,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15-74호, 별책 7.
  3. 교육부, 2022, 사회과 교육과정, 고시 제2022-33호, 별책 7.
  4. 김갑철, 2016, “정의를 향한 글로벌 시민성 담론과 학교 지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2), 17-31. 10.17279/jkagee.2016.24.2.17
  5. 김다원, 2017, “지리교육에서의 정의(Justice)교육에의 접근 방안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3), 1-19. 10.17279/jkagee.2017.25.3.1
  6. 김달효, 2011, “사회정의의 역사적 배경, 개념, 유형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 19, 193-219.
  7. 김달효, 2014, “사회정의를 위한 교육의 이론적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26(3), 474-484. 10.13000/JFMSE.2014.26.3.474
  8. 김진우, 2021, “다차원적 정의론에 따른 차별 극복 수업의 실천”,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17.
  9. 낸시 프레이저, 2010, “지구화 시대의 정의: 정치적 공간에 대한 새로운 상상”, 그린비.
  10. 요시타케 신스케, 2019, 보이거나 안 보이거나, 토토북.
  11. 박효은, 2016, “정의형 시민성 함양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연구”,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03.
  12. 배재한, 2014, “또 다른 가능성: 사회 정의를 위한 미술 교육”, 미술과 교육, 15(1), 75-94. 10.20977/kkosea.2014.15.1.75
  13. 안인기, 2011, “사회정의를 위한 미술교육의 사례와 교육적 함의”, 미술교육논총, 25(2), 295-320.
  14. 심승환, 2020, “사회정의교육의 개념과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6), 977-1007.
  15. 양정실, 2020, 중학교 학생 참여형 수업의 실태 분석과 질 제고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6. 엄수정·김종훈·정수정, 2021, “정의지향적 관점에 비추어 본 민주시민교육 교과서 분석: 경기도교육청 『더불어 사는 민주시민』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80, 9-31.
  17. 왕영균, 2017, “카드뉴스 형태의 콘텐츠가 이용자의 만족과 지속적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모바일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61.
  18. 이명숙, 2001,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한 교육 실제의 개선”,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논총, 17(2), 381-408.
  19. 이용숙 외, 2005, 실행연구방법, 학지사.
  20. 이종은, 2015, 사회 정의란 무엇인가, 책세상.
  21. 임은진, 2017, “지리교육적 측면에서의 정의(Justice)에 대한 교육 내용 및 방법 모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21-36. 10.17279/jkagee.2017.25.3.21
  22. 정요람, 2016, “사회정의 교육을 기반으로 한 초등학교 고학년 개념미술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66.
  23. 조철기, 2020, 시민성의 공간과 지리교육, 푸른길.
  24. 최 훈, 2010, “김영정 교수의 비판적 사고론”, 한국논리학회지, 13(2), 1-26.
  25. Blumenfeld, C. et al., 1991, Motivating Project-Based Learning: Sustaining the Doing, Supporting the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6, 369-398. 10.1207/s15326985ep2603&4_8
  26. Christensen, L. and Karp, S., 2003, Rethinking School Reform, Rethinking Schools.
  27. Feldman, S. and Tyson, K., 2007, Preparing school leaders to work for social justice in education: clarifying conceptual foundations, Paper presented at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Chicago, IL.
  28. Fraser, N. et al., 2003, Redistribution or Recognition?, Verso. 10.1002/9780470756119.ch54
  29. Hackman, W., 2005, Five Essential Components for Social Justice Education, Equity & Excellence in Education, 38, 103-109. 10.1080/10665680590935034
  30. Honneth, A., 2001, Recognition or Redistribution? Changing Perspectives on the Moral Order of Society, Theory: Culture&Society, 18(2), 68-93. 10.1177/02632760122051779
  31. Katz, L.G. and Chard, S. D., 1992, The Project Approach, Teaching guides, 52-142.
  32. Lamer, J., Mergendoller, J., and Boss, S., 2015, Setting the Standard for Project Based Learning BIE, Alexandria, VA: Author.
  33. Larson, C. and Murtadha, K., 2003, Leadership for social justice. The educational leadership challenge: redefining leadership for the 21st centur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4. Pettit, J., 2006, Five Rures for Teaching Social Justice, Poritial Theology, 7(4), 475-489. 10.1558/poth.v7i4.475
  35. Wade, R.C., 2007, Social studies for social justice: teaching strategies for the elementary classroom, Teachers College Press.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32
  • No :1
  • Pages :113~131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