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73-87
Abstract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geopolitical conflicts occurr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re changing faster than ever. The geography society has discussed multi-scalar and open perceptions of places and territories. The notion of relational awareness on places contains such discussions. This concept will allow geography education a useful contribution to the needs of preparing for peace and reunification. Hence, this study pointed out the closed conception of the view on land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Korean geography curriculum and examined relational awareness of place. In addition, examples of contents that can reflect relational awareness on places were pres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useful way of citizenship education that meets the needs of a changing era on peaceful unification with geography education which promotes students’ flexibility and openness on how they perceive territory.
한반도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있는 지정학적 대립의 관계가 그 어느 때 보다 빠르게 변하고 있다. 지리학계에서는 장소와 영토에 대한 다층적이고 개방적 인식을 논의해왔다. 관계론적 장소 인식 개념이 그런 논의들을 포함하고 있다. 이 개념은 평화와 통일 교육에서 지리 교과가 유용하게 기여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지리 교육과정 내용에 반영되어 있는 폐쇄적인 국토관을 지적하고 관계론적 장소 개념의 유용성을 검토해보았다. 또한 관계론적 장소 인식을 반영할 수 있는 내용의 사례를 제시하였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목표는 지리교육이 학생들의 개방적이고 유연한 국토 인식을 촉진하여, 변화하는 평화 통일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시민성 교육의 유용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References
  1. 교육부, 2015,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사회과 교육과정.
  2. 김기혁, 2016, “한국 인문지리학 분야에서 북한 연구의 동향과 과제” 대한지리학회지, 51(5), 713-737.
  3. 김병연, 2017, “한국지리에서 ‘지역지리’의 위상에 대한 고찰”,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3(4), 679-693.
  4. 남호엽, 2011, “글로벌 시대 지정학 비전과 영토교육의 재개념화”.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9(3), 371-379.
  5. 박배균, 2013, “영토교육 비판과 동아시아 평화를 지향하는 대안적 지리교육의 방향성 모색”, 공간과 사회, 23(2), 163-198.
  6. 박배균․이승욱․지상현, 2018, “한반도의 탈냉전과 영토/국경의 지정-지경학”,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43-44.
  7. 박선미, 2009, “독도 교육의 방향: 민족주의로부터 시민적 애국주의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2), 163-176.
  8. 박선미, 2010, “탈영토화시대의 영토교육 방향-우리나라 교사와 학생 대상 설문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1), 23-36.
  9. 박선미, 2017, “우리나라 중학교 지리교육과정의 지역학습 내용과 그 조직 방법의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52(6), 797-811.
  10. 서태열, 2009. “영토교육의 개념화와 영토교육모형에 대한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197-210.
  11. 심승희․권정화, 2013, “영국의 2014 개정 지리교육과정 의 특징과 그 시사점,”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1(3), 17-31.
  12. 윤인진, 2015, “한국인의 갈등의식 현황과 변화: 제1∼3차 한국인의 갈등의식조사 결과 분석”. 한국사회, 16(1), 3.
  13. 이수정, 2014, “접촉지대와 경계의 (재)구성”. 현대북한연구, 17(2), 85-126.
  14. 이승욱, 2018, “접경지역의 도시지정학”, 대한지리학회지, 53(5), 625-647.
  15. 이승현, 2006, “남북관계의 측면에서 본 개헌논의: 영토 조항을 중심으로”, 국가전략, 2(2).
  16. 이정은, 2017, “귀환 조선족동포의 인정투쟁과 한국사회 차별의 구조”, 고려인 강제이주 80주년 기념 국제학술회의 자료집, 165-179.
  17. 임덕순, 2006, “지리교육에 있어서의 영토교육의 중요성”.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06년 추계학술대회 요약집, 1-10.
  18. 전영선, 2014, “북한이탈주민과 한국인의 집단적 경계 만들기 또는 은밀한 적대감”, 통일인문학, 58, 99-126.
  19. 지상현, 2013, “반도의 숙명: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에 대한 비판적 검증”. 국토지리학회지, 47(3), 291-301.
  20. 최경옥, 2018, “재외동포법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서울법학, 26(1), 1-33.
  21. 최병두, 2017, “관계적 공간과 포용의 지리학”, 대한지리학회지, 52(6), 661-682.
  22. 허명철, 2010,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통일인문학 50, 303-320.
  23. 황규덕․박배균, 2019, “지리교육에서 장소 이해에 대한 관계적 전환의 필요성에 대한 소고”,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5(1), 20-37.
  24. 황진태, 2016, “지리교육에서 사회적 자연(social nature) 개념 활용의 시사점”, 2016년 하계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88-89.
  25. Anderson, J., 2015, Understanding cultural geography: places and traces, Routledge: New York.10.4324/9781315819945
  26. Agnew, J., 1987, Place and politics. The geographical mediation of state and society, Allen&Unwin: Boston.
  27. Cohen, J. L., 1999, Changing Paradigms of Citizenship and the Exclusiveness of the Demos, International sociology, 14(3), 245-268.10.1177/0268580999014003002
  28. Cresswell, T., 2004, Place: a short introduction. Malden, Blackwell: MA.
  29. Habermas, J., 1996, The European Nation State. Its Achievements and Its Limitations. On the Past and Future of Sovereignty and Citizenship, Ratio Juris, 9(2), 125-137.10.1111/j.1467-9337.1996.tb00231.x
  30. Lefebvre, H., 1974, The Production of Space. Blackwell, Oxford (양영란 역, 공간의 생산, 에코 리브로).
  31. Massey, D., 1997, A global sense of place, In Barnes. T. and Gregory. D. (eds.) Reading Hunam Geography, 315-323, Arnold: London.
  32. Novak, P., 2011, The flexible territoriality of borders, Geopolitics, 16(4), 741-767.10.1080/14650045.2010.494190
  33. Paasi, A., 1991, Deconstructing regions: notes on the scales of spatial life, Environment and planning A, 23(2), 239-256.10.1068/a230239
  34. Relph, E. C., 1984,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심승희․김현주 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35. Smith, N., 1984, Uneven Development: Nature, capital, and the production of space, University of Georgia Press.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73-87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