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109-124
Abstract
This study looked at the hub nation-centered learning by regional classification for understanding the Latin American region, which is not directly related to Korean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for understanding of the large scale region like a continent, the nation- centered as a hub country approach is more useful for deepening local recogni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than continental scale. Secondly, the usefulness of the hub nation-centered approach is can be understood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depth. And the learning of the secondary and tertiary nations learning is focus on specific points except for the basic and common points obtained through the primary hub nations learning, which can reduce the learning burden and overlap of contents. Thirdly, the Latin American region is consists of 33 countries from Mexico in the northern to Chile in the southern. The Latin American region can be divided into three regions: Central America(8), South America(12) and the Caribbean(13). Fourthly, Brazil is absolute position in terms of population and area size in Latin America. And Mexico is a large position in Central America, Cuba is a large share of Caribbean countries. Therefore, the three countries(Brazil, Mexico and Cuba) have been selected as the primary hub nations for Latin America understanding. Fifthly, it proposed eight secondary nations, three in the Central America(Panama, Belize, Costa Rica), three in South America(Colombia, Peru, Argentina) and two in the Caribbean(Iti, Trinidad and Tobago). However, nation-centered approach has limitations in learning natural geographical elements, such as mountain ranges and streams that have the characteristics of continental scale.
우리나라 학생들과 직접관련성이 적은 라틴 아메리카 지역의 이해를 위해서, 지역분류 방법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거점국가 중심의 학습방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륙과 같이 큰 규모의 지역을 학습하는 데는 대륙 전체적인 접근 보다는, 거점국가 중심의 지역이해 방법이 지역에 대한 인식을 깊게 할 수 있으며, 학습자의 능동적 참여에 의한 학습이 가능하다. 둘째, 지역분류에 의한 거점국가 선정과 학습방법은 1차 거점 국가의 학습을 통하여, 지역의 공통적 특성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지역인식의 거점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2차 및 3차 국가의 학습은 1차 거점국가 학습을 통해서 얻은 기본적이고 공통적인 사항을 제외하고 특이성을 중심으로 학습할 수 있어서, 학습 부담과 내용 중복을 줄일 수 있다. 셋째, 라틴아메리카 지역 33국은 중미(8국), 남미(12국), 카리브 해(13국) 등 3개 지역으로 세분할 수 있다. 넷째, 라틴아메리카 지역에서는 인구 규모나 면적에서 브라질의 위치가 절대적이다. 그리고 중미에서는 멕시코, 카리브 해 국가들 중에서는 쿠바의 비중이 크다. 따라서 이들 3개국(브라질, 멕시코, 쿠바)을 라틴아메리카 지역 이해의 1차 거점 국가로 선정하였다. 다섯째, 2차 거점국가로는 특이성을 중심으로 중미에서 3개국(파나마, 벨리즈, 코스타리카), 남미에서 3개국(콜롬비아, 페루, 아르헨티나), 카리브 해에서 2개국(아이티, 트리니다드 토바고) 등 8개국을 제시했다. 그러나 국가 중심 학습 방법은 대륙 단위의 특성을 지니는 산맥이나 하천 등의 자연 지리적 요소를 학습하는 데에는 한계점이 있다.
References
  1. 구동회, 2013, “세계지역구분체계에 관한 사례 연구; 특성과 함의”, 국토지리학회지, 47(4), 415-426.
  2. 권동희, 2005, “라틴 아메리카 지역지리 수업용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2), 293-300.
  3. 김상원, 1994, 최신 교육과정과 교수방법론, 교육출판사.
  4. 김수정‧이영민, 2015, “환태평양시대의 멕시코 항만체계와 관문도시의 변화 특성 연구: 만사 니요(Manzanillo) 시를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8(1), 13-29.
  5. 김유동‧허철호, 2009, “아르헨티나 헤네랄 구에메스 지역 철광상 평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3), 1-7.
  6. 김창환‧배선학, 2014, “수능 세계지리 문항에 제시된 국가의 공간 분포 분석”, 한국사진지리 학회지, 24(4), 193-202.
  7. 김학훈, 1998a, “미국 - 멕시코 국경지대의 산업화 과정”,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 81-112.
  8. 김학훈, 1998b, “NAFTA와 미국 - 멕시코의 무역”,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6(1), 101-115.
  9. 김한승‧신정엽, 2015, “라틴 아메리카 도시 구조 모델의 비판적 고찰과 고등학교 지리교육에의 함의”, 한국지리학회지, 4(2), 265-277.
  10. 김희순‧이호상, 2010, “라틴아메리카의 국제항공네트워크 성장과 공간적 상호작용의 변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1), 61-77.
  11. 김희순, 2008a, “멕시코시티의 인구성장 및 지역격차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1(2), 13-31.
  12. 김희순, 2008b, “멕시코 마낄라도라산업의 특성과 분포 변화”,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1(2), 251-271.
  13. 김희순, 2010, “수입대체산업화 시기 멕시코의 산업입지 배경과 제조업 관련 업체의 분포 특성”,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3(2), 147-165.
  14. 김희순, 2014, “스페인 식민제국 형성기 도시의 역할 고찰 -16세기 누에바 에스파냐 부왕령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7(1), 139-156.
  15. 김희순, 2016, “스페인의 식민지배 거점으로서 아바나의 형성과 성장”,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9(3), 113-129.
  16. 김희순, 2019, “라틴아메리카 사회에서의 송금의 영향력 분석”,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2(2), 173-189.
  17. 김태유‧김대륜, 2017, 패권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8. 남영우, 2007, “메소아메리카 테오티우아칸의 기원(起源)과 성쇠(盛衰)”,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0(1), 1-13.
  19. 박상준, 2009, “중부 안데스 동부산맥과 푸나의 지질 및 지형발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9(4), 15-26.
  20. 박정은, 2013, “사회-공간 이론을 바탕으로 "디아스포라"의 다중 스케일의 구성 방식에 대한 이론적 고찰: 아프리카-브라질 디아스포라 사례로”, 지리교육논집(57), 39-48.
  21. 박정재, 2005a, “멕시코 중부 고산 지역에서 스페인 식민 통치 시기를 전후하여 일어난 인위적 환경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0(4), 428-440.
  22. 박정재, 2005b, “멕시코 과나하토주의 호야산 니콜라스 지역에서 있었던 홀로세 환경변화와 인간의 영향”, 대한지리학회지, 40(5), 571-583.
  23. 박정재, 2009a, “멕시코 중부의 토양 침식과 고환경 변화”, 대한지리학회지, 44(1), 17-30.
  24. 박정재, 2009b, “콜럼부스 발견 전후의 아메리카대륙 환경파괴에 대한 관점”,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6), 707-719.
  25. 박종관, 2013,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 본 안데스 파타고니아와 아타카마의 지형경관”, 한국지형학회지, 20(4), 15-28.
  26. 성운용, 2007, “다문화가 공존하는 멕시코의 지리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7(1), 41-53.
  27. 손용택, 2004, “중남미지역 지리 교과서의 내용 구성 및 한국관련 내용 분석 –멕시코, 아르헨티나, 파라과이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03-312.
  28. 이 전, 1992, “라틴아메리카 원주민과 원주민 문화, 그리고 그 문화유산”, 문화역사지리(4), 305-319.
  29. 이 전, 1994, 라틴아메리카 지리 : 문화와 역사 그리고 정치 시사를 중심으로, 민음사.
  30. 이전‧백종국, 1997, “멕시코 북부 국경지대의 경제구조 변화에 관한 고찰 –NAFTA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지, 32(2), 155-174.
  31. 이한영‧허철호, 2007, “아르헨티나 북서부 살따주 광산의 지질”,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7(3), 1-7.
  32. 이혜은, 2013, “모더니즘의 대표적 도시, 세계유산 브라질리아의 명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16(3), 1-11.
  33. 임상래, 2004, “라틴아메리카의 신자유주의 경제개혁과 사회문화 변동(3) ; 라틴아메리카의 국경과 이민: 아르헨티나-브라질-파라과이 접경 지역의 문화와 일상”, 라틴아메리카연구, 17(4), 143-171.
  34. 임수진, 2005, “코스타리카 커피경제의 시-공간적 전개와 지역적 차이”, 문화역사지리, 17(3), 151-159.
  35. 임수진, 2011, 커피밭 사람들 : 라틴아메리카 커피노동자, 그들 삶의 기록, 그린비.
  36. 임수진, 2018, “중남미 이민과 한국의 재외동포정책”, 민족연구(72), 66-89.
  37. 임정훈, 2015, “멕시코의 산업 클러스터 발전: 타마울리파스의 전기-전자 클러스터 사례”,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8(3), 243-266.
  38. 전종한‧김영래‧홍철희‧장의선‧한희경‧최재영‧천종호‧노재윤, 2015, 세계지리 –경계에서 권역을 보다-, 사회평론.
  39. 조성욱, 2003a, “지리 지식의 기본수준개념과 범주화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1), 13-26.
  40. 조성욱, 2003b, “지리지식의 범주화와 지역인식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2), 1-16.
  41. 조성욱, 2005, “거점국가 중심의 세계지리 교육내용 구성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3), 349-362.
  42. 조성욱, 2018, “아프리카에 대한 지역인식 변화를 위한 지리교육과정 구성 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6(1), 73-87.
  43. 최명호, 2015, “우리들의 라틴아메리카 혹은 중남미 -용어의 역사와 그 맥락에 관한 연구-”, 이베로아메리카, 17(1), 133-168.
  44. 황재기 편저, 2003, 세계의 국가들, ㈜교학사.
  45. 허철호, 2011, “페루 꼴까 지역의 지질 및 광화작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1(1), 145-150.
  46. 허철호, 2012, “페루 뿌노 지역의 지질 및 지형경관”,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1), 91-96.
  47. 홍금수, 2004, “해외지역연구의 현황과 과제 ; 세계화시대의 아메리카지역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0(2), 267-285.
  48. 홍금수, 2005, “스페인 식민지시대 멕시코의 아시엔다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1(2), 291-311.
  49. 홍성룡, 2015, “마푸체 원주민의 지리적 환경과 문화 및 새로운 문명과의 갈등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4), 55-65.
  50. 카산드라 구티에레즈(Cassandra Gutierrez), 2018, “멕시코시티 코리아타운 ‘리틀 서울’의 한류를 통한 재영토화”,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1(2), 93-105.
  51. 大森照夫 外 4人 編著, 1993, 新訂 社會科敎育指導用語辭典, 1993, 敎育出版.
  52. Brzezinski, Z, 1997, The Grand Chessboard (브레진스키 저, 김명섭 역, 2000, 거대한 체스판 –21세기 미국의 세계전략과 유라시아-, 삼인).
  53. Estes, W. K., 1994, Classification and Cogn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4. Marshall, T., 2015, Prisoners of Geography (팀 마셜 저, 김미선 역, 2016, 지리의 힘, 사이).
  55. Newmann, F. M., 1991, “Promoting higher order thinking in social studies : Overview of a study of sixteen high school departments”, Theory and Research in Social Education, Vol.ⅪⅩ(4), Fall, 324-340.
  56. Popescu, G., 2011, Bordering and Ordering the Twenty-first Century, Rowman & Littlefield, Lanham, MD(가브리엘 포페스쿠 저, 이영민‧이용균‧이현욱‧김수정‧이종희‧이지선‧장유정 역, 2018, 국가‧경계‧질서: 21세기 경계의 비판적 이해, 푸른길).
  57. 다음백과(https://100.daum.net/encyclopedia/)
  58. IMF(www.imf.org)
  59. One World Nations Online(http://www.nationsonline.org/)
  60. World Population Review(http://worldpopulationreview.com/),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19 Revision)-United Nations population estimates and projections.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109-124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