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39-5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geography fieldwork and changes in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papers published in South Kore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a total of 80 paper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number of papers per year, research purposes and methods, types of geography fieldwork, and targets and themes of geography fieldwork program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academic papers on geography fieldwork, which had not changed until 2012,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2012-2013. Second, most of the research about geography fieldwork in South Korea is practical research focusing on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fieldwork programs to meet the needs of schools and measurement of learning outcomes. Third, between 1999-2004, the most prominent types of fieldwork were experiential learning and local understanding, and the theme of experiential learning was the environment. Since 2010, geography fieldwork incorporating geospatial technologies has started to increase, and after 2015, inquiry-based fieldwork has grown most noticeably. Lastly, the proportion of papers without proper research methods was quite high. Even in the case of using a questionnaire-based method, the rates of studies setting a control group design or pre-post comparison showed low.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술논문의 분석을 통해 지리답사의 성격과 연구의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국내 지리교육 및 지리학 관련 분야의 연구재단 등재후보지 이상 학술지에서 80편의 논문을 수집하였으며, 이들을 시기별 연구 수, 연구의 목적, 지리답사의 유형, 연구의 대상, 연구의 주제, 연구방법에 맞춰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2012년까지 큰 변화가 없던 지리답사 관련 학술논문의 수는 2012-2013년을 기점으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둘째, 국내의 지리답사 관련 연구는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프로그램 적용 및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는 실증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한다. 셋째, 1999-2004년 사이에 가장 두드러진 유형은 체험학습과 지역학습이며, 체험의 주제는 환경이 많았다. 2010년 이후부터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지리답사가 증가하기 시작했으며, 2015년 이후부터는 탐구형의 증가가 가장 뚜렷하게 관찰되었다. 다섯째, 연구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학술연구의 비중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설문조사를 활용하는 경우에도 통제집단을 설정하거나, 사전-사후 비교를 통해 처치의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References
  1. 강대균, 2019, “비인만의 해안사구를 활용한 경관생태적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한국지형학회지”, 26(1), 121-131.
  2. 강정순, 2008, “초등사회과 지역학습을 위한 교재화 연구 – 경남 고성군 지역의 사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6(1), 63-78.
  3. 교육과학기술부, 2010, 손에 잡히는 창의적 체험활동 매뉴얼 초등학교, 교육과학기술부.

  4. 김가혜․신재열, 2017, “고등학교 한국지리 교과서 내 지형 및 생태환경 교육을 위한 현장학습 활동 프로그램 개발 – 진주시 남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117-135.
  5. 김민성․이창호, 2015, “지리공간기술 기반 봉사학습 프로젝트: 지오투어리즘 관점에서의 지역사회 참여”, 한국지도학회지, 15(3), 63-77.
  6. 김선영․김영환, 2015, “ICT 활용 체험학습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5(6), 271-294.
  7. 김영환, 2015, “초등 창의적 체험활동 연구동향 분석”, 교육혁신연구, 25(3), 45-65.
  8. 김창환․정해용, 2017, “지오투어리즘을 활용한 DMZ 체험학습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강원도 화천․양구군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171-185.
  9. 김태호, 2012, “한라산의 지형 특성을 활용한 자연해설 탐방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지형학회지, 19(2), 17-29.
  10. 류수연․이종원, 2017, “초등교사들은 현장체험학습을 어떻게 계획하고 실천하는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59-74.
  11. 류주현, 2004, “지리교육과 교육과정에서 효과적인 야외조사 교수-학습방법”,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2), 343-353.
  12. 박선영․김영호, 2019, “야외조사를 통한 고등학교 학생의 지리적 탐구 능력 향상 방안: 인천 차이나타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8(1), 19-32.
  13. 박종관, 2015, “새로운 관광수단으로서 지리여행의 콘텐츠 구성과 활용 방안”, 대한지리학회지, 50(1), 53-71.
  14. 박철웅, 2013, “지리교육에서 체험활동으로서 야외답사의 함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1(3), 163-177.
  15. 박철웅, 2014, “도시답사에서 다감각적 경험을 통한 질적 접근”,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2), 65-79.
  16. 박환보․조혜승, 2016, “한국의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교육학연구, 54(2), 197-227.
  17. 배선학, 2018, “중등교육과정에서 GIS와 연계된 문제중심학습(PBL) 기반의 창의적 체험 수행”,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3), 101-114.
  18. 배선학․김민숙, 2013,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활용한 지리․환경 교육 – 오대천 수질조사 활동을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3), 81-92.
  19. 부해진․손호기․김상범․채해성, 2018, “자유학기제와 연계한 농업․농촌 관련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참여현황 – 교사의 장소경험과 장소감의 관점에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1), 43-62.
  20. 송언근, 2015, “지리 탐구적 답사를 위한 연수 과정의 구성 – 지리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71-86.
  21. 신현석․오찬숙, 2013, “교원 현직연수 연구동향 분석: 연구 영역, 주제 및 연구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0(3), 431-462.
  22. 안재섭, 2013, “지리-역사 장소 답사를 중심으로 한 학습내용 구성 및 평가 방법 – 서울 북촌 한옥마을 답사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3(1), 61-73.
  23. 엄준용․정우진․이준희, 2010,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6, 29-55.
  24. 오선민․이종원, 2014, “중등학교 지리답사 연구 – 목적, 유형, 계획과 제약요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2(1), 111-130.
  25. 유원희, 2000, “지리과 환경수업의 설계 및 수행평가 적용에 관한 연구”, 지리․환경교육(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8(1), 51-62.
  26. 윤노아․최윤정, 2015, “한국 사회과교육에서의 세계시민교육 관련 경험적 연구 분석: 1993-2015”, 사회과교육, 54(4), 35-48.
  27. 윤옥경, 2016,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교양과목에서 장소기반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실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139-150.
  28. 이간용, 2016, “일상 공간에 대한 답사 활동의 지리 교육적 함의: G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답사 활동을 사례로”, 대한지리학회지, 51(6), 915-933.
  29. 이건학, 2014, “스마트폰과 지리공간기술을 활용한 스마트 지리 답사”, 국토지리학회지, 48(2), 257-277.
  30. 이경한, 2015, “지리교육에서의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와 적용 – 마을 숲 미기후 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55-70.
  31. 이두현, 2015,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 발굴 및 적용 – 마을 기반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5(3), 133-151.
  32. 이두현, 2016, “학교 밖 창의체험자원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의 효과성 분석: 마을 기반 프로젝트형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학회지, 5(2), 99-106.
  33. 이소년, 2006, “초등 사회과 지역학습을 위한 교재화 연구 – 사천시 지역의 사례”,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4(1), 79-93.
  34. 이재혁․노수홍․최석진, 2009, “도시 공원에서의 체계적인 환경체험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 남산 야외식물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1), 73-87.
  35. 이종원, 2014, “영국 초․중등학교 지리과목의 야외조사활동 분석”, 비교교육연구, 24(4), 1-27.
  36. 이종원, 2016, “21세기 역량 개발을 위한 야외조사활동의 역할과 과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1), 99-117.
  37. 이종원․오선민․최광희, 2017, “조사형 야외학습 프로그램의 개발과 교육적 효과 – 해안사구를 사례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129-150.
  38. 이종원․함경림․김보경, 2007, "워크북 스타일 답사 자료집의 개발과 적용",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5(4), 345-361.

  39. 이종원․허소정, 2018, “야외에서 데이터 수집활동 참여가 학생들의 이해와 야외답사 경험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4), 99-120.
  40. 이종원․허소정, 2019, “탐구기반 야외조사활동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교사들의 연구에 대한 만족도와 야외조사활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2), 113-129.
  41. 이지연, 2014,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99-219.
  42. 이진석, 2007, “부산 전통 5일장을 활용한 사회과 소규모 지역학습의 교재화 연구 – 노포동 5일장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17(2), 25-34.
  43. 임상희․남상준, 2004,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 체험과 환경적 감수성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3), 497-507.
  44. 임은진, 2011, "사회가 야외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 연구", 사회과교육, 50(4), 217-228.

  45. 장의선․서민철, 2015, “소규모 테마형 국토탐방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 – 2014년도 교육부 국토탐방 공모전 실태 분석을 중심으로”, 사회과교육연구, 22(4), 19-35.
  46. 전보애, 2010, “지리적 탐구방법과 통합된 봉사학습: 지역사회중심 환경교육의 실행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8(3), 323-337.
  47. 전보애, 2014,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영토교육 모형의 개발과 적용 –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4(4), 1-13.
  48. 전보애, 2016, ““그냥” 영토교육과 “새로운” 영토교육 – 통합적 영토교육 모형과 디지털스토리텔링맵의 구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4(4), 73-91.
  49. 정재승, 2008, “지리과 체험학습을 위한 투어 핸드북 개발 및 적용”, 중등교육연구, 56(3), 93-124.
  50. 정현모, 2001, “학교숲의 환경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지리․환경 교육(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9(2), 125-137.
  51. 조성욱, 2002, “지리교육에서 주변지역학습의 교육적 의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25-39.
  52. 조수진․남상준, 2015, “장소기반교육(PBE)의 사회과교육적 의의 및 효과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1), 1-17.
  53. 조헌․전보애, 2017, “STS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장소중심의 탐구형 야외조사학습 – 강릉 경포호를 사례로 한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7(4), 99-116.
  54. 조헌․전보애․조대헌, 2018,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역문제 탐구형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 강릉 해안침식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8(2), 89-112.
  55. 한상미․강영옥, 2013, “지리적 관점에서 본 세계유산 창덕궁의 현장체험학습 설계 및 모바일 시스템 구현”, 교과교육학연구, 17(3), 645-666.
  56. 황홍섭․박지수, 2018, “빅데이터 분석에 기반한 학습자 주도형 지리답사 코스의 개발 및 검증: 부산 원도심 및 대중가요를 중심으로”, 사회과교육, 57(4), 39-58.
  57. 허숙, 2015,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초등학교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 방안 모색”, 교육 과정연구, 33(1), 19-40.
  58. 허은경, 2002, “지역 조사 프로젝트 학습의 설계 및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0(2), 61-81.
  59. 홍기대, 1999, “초등 사회과 지역조사 활동을 통한 현장 체험학습 지도”, 사회과교육, 32, 257-281.
  60. 홍서영, 2018, “환경지도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의 환경 감수성 및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탐색”, 사회과교육, 57(3), 89-104.
  61. 1.
  62. Ananiadou, K. and Claro, M., 2009, 21st Century Skills and Competences for New Millennium Learners in OECD Countries - OECD Education Working Papers, No. 41, Paris: OECD Publishing. http://dx.doi.org/ 10.1787/218525261154
  63. 2.
  64. Bland, K., Chambers, B,, Donert, K., and Thomas, T., 1996, Fieldwork In P. Bailey and P. Fox (Eds.), Geography teachers’ handbook, Sheffield, UK: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165-175.
  65. 3.
  66. Braund, M. and Reiss, M., 2006, Towards a more authentic science curriculum: The contribution of out-of-school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 1373-1388. 10.1080/09500690500498419
  67. 4.
  68. Chew, E., 2008, Views, values and perceptions in geographical fieldwork in Singapore school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7(4), 307-329.10.1080/10382040802401565
  69. 5.
  70. Coe, N. M. and Smyth, F. M., 2010, Students as tour guides: Innovation in fieldwork assessment,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34(1), 125-139. 10.1080/03098260902954095
  71. 6.
  72. France, D. and Haigh, M., 2018, Fieldwork@40: fieldwork in geography higher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42(4), 498-514.10.1080/03098265.2018.1515187
  73. 7.
  74. Fuller, I., Rawlinson, S., and Bevan, R., 2000, Evaluation of student learning experiences in physical geography fieldwork: Paddling or pedagogy?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4(2), 199-215. 10.1080/713677388
  75. 8.
  76. Gold, J. R., Jenkins, A., Lee, R., Monk, J., Riley, J., Shepherd, I., and Unwin, D., 1991, Teaching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A Manual of Good Practice, Oxford: Blackwell.
  77. 9.
  78. Kent, M., Gilbertson, D. D., and Hunt, C. O., 1997, Fieldwork in geography teaching: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approaches, Journal of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21(3), 313-332. 10.1080/03098269708725439
  79. 10.
  80. Lambert, D. and Reiss, M., 2014, The Place of Fieldwork in
Geography and Science Qualifications,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University of London.
  81. 11.
  82. Lee, J. and Butt, G., 2014, The reform of national geography standards in South Korea - Trends, challenges and response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3(1), 13-24. 10.1080/10382046.2013.858404
  83. 12.
  84. Lonergan, N. and Andresen, L. W., 1988, Field-based education: Some theoretical considerations, Higher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7(1), 63-77. 10.1080/0729436880070106
  85. 13.
  86. Marsden, W. E., 1989, ‘All in a good cause’: Geography, history and the politicization of the curriculum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ngland,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1(6), 509-526. 10.1080/0022027890210603
  87. 14.
  88. Munday, P., 2008, Teacher perceptions of the role and value of excursions in years 7-10 education in Victoria, Australia,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17(2), 146-169.10.1080/10382040802148638
  89. 15.
  90. Oost, K., Vries, B. D., and Van der Schee, J., 2011, Enquiry-driven fieldwork as a rich and powerful teaching strategy-school practices in secondary geography education in the Netherlands, International Research in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Education, 20(4), 309-325. 10.1080/10382046.2011.619808
  91. 16.
  92. Pawson, E., Fournier, E., Haigh, M., Muniz, O., Trafford, J., and Vajoczki, S., 2010, Problem-based learning in geography: Towards a critical assessment of its purposes, benefits and risks, In M. Healey, E. Pawson, and M. Solem (Eds.), Active learning and student engagement: International perspectives and practices in geography in higher education, Abingdon, UK: Routledge, 58-71.
  93. 17.
  94. Rickinson, M., Dillon, J., Teamey, K., Morris, M., Choi, M. Y., Sanders, D., and Benefield, P., 2004, A Review of Research on Outdoor Learning, London: National Foundation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King’s College.
  95. 18.
  96. Roberts, M., 2013, Geography through enquiry: Approaches to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secondary school, Sheffield, UK: The Geographical Association.
  97. 19.
  98. Seow, T., Chang, J., and Irvine, K., 2019, Field-Based Inquiry as a Signature Pedagogy for Geography in Singapore, Journal of Geography, 118(6), 1-11. 10.1080/00221341.2018.1561740
  99. 20.
  100. Smith, A., 2002, Place-based education: Learning to be where we are, Phi Delta Kappan, 83(8), 584-594. 10.1177/003172170208300806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39-56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