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4

Research Article

30 November 2020. pp. 1-16
Abstract
Understanding human beings, recognizing the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should begin in their own existential space. It is an important role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to help children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various geographical things and phenomena that they actually exper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spaces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thereby making it the basis for organizing the contents of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Bollnow noted the “Experienced Space” as a specific space where humans live their lives. “Experienced Space” is a specific space where basic human life takes place and contains the unique meaning of people. As an “Experienced Space,” a children’s spaces refers to a child’s body itself, spaces that meets the needs and desires of everyday life, spaces where he or she interacts with the environment as an agent, spaces he dynamic growth and development, spaces where fun prevails over function, spaces full of fantasy and imagination, and spaces where adult’s inductions and children's intentions are combined. Focusing on children’s spaces in elementary geography education, children can form their own existence and cultivate the power to live a “True Life”.
인간 존재의 이해, 공간의 특성 인식, 인간과 공간의 관계 파악은 자신이 실제 삶을 살아가는 공간에서 시작해야 한다. 어린이가 삶의 과정 속에서 실질적으로 경험하는 다양한 지리적 사상의 의미와 가치를 찾을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초등지리교육의 중요한 역할이다. 본 연구는 초등지리교육에서 어린이 공간의 의미와 특성을 파악해 봄으로써 어린이 공간이 초등지리교육의 내용을 조직하는 기반이 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Bollnow는 인간이 삶을 살아가는 구체적인 공간으로서의 “체험공간”에 주목하였다. “체험공간”은 인간의 기본적인 삶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공간으로서,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의 고유한 의미가 담겨있다. “체험공간”으로서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의 신체 그 자체이자, 일상생활 속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곳이고, 행위자로서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곳이며 미디어를 통해 접한 곳, 상상한 공간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어린이 공간은 어린이들의 역동적인 성장과 발달의 기반이며, 어린이들에게 기능보다 재미가 우세한 공간이고, 환상과 상상으로 가득 찬 공간인 동시에 어른의 유도와 어린이의 의도가 결합된 공간이라는 특성을 갖는다. 어린이가 직접적으로 만나 상호관계를 맺는 어린이 공간을 초등지리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때 어린이들이 자신의 실존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참된 삶”을 살아가는 힘을 길러줄 수 있다.
References
  1. 강학순, 2007, “볼노우의 인간학적 공간론에 있어서 ‘거주’의 의미”, 존재론연구, 16(0), 5-32.
  2. 권정화, 2011, “지리적 자아의 성장과 생활세계의 이해: 지리교육적 함의”, 사회과학교육연구, 13(0), 70-89.
  3. 김미영․문정민, 2017, “아동의 정서발달을 지원하는 방과후 보육시설의 디자인 지침 추출 및 특성 연구: 관련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8(5), 91-99.10.6107/JKHA.2017.28.5.091
  4. 김승미․남상준, 2018, “초등학생의 생활 글에 나타난 장소 경험”,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2), 1-15.
  5. 김일두․남상준, 2015, “학교 공간에 대한 어린이의 장소감: ‘어린이 지리학’의 관점에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39-53.
  6. 김재철, 2009, “공간과 거주의 현상학: 볼노오의 공간이해를 중심으로”, 철학논총, 56(0), 367-391.
  7. 김정아․남상준, 2005, “장소 중심 지리교육내용 구성원리의 탐색”,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3(1), 85-96.
  8. 김정아, 2015, “어린이의 일상적 여정의 지리교육적 의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3(3), 23-38.
  9. 김창환, 1996, “랑에펠트(M. J. Langeveld)의 ‘어린이 인간학’ 연구”, 교육학연구, 34(1), 47-61.
  10. 김하진․고진호, 2019, “어린이 인간학적 교육학 탐구방법론의 의의와 과제”, 교육철학연구, 41(2), 1-22. 10.15754/jkpe.2019.41.2.001
  11. 김현주․남상준, 2018, “초등학생들의 ‘지형에 따른 생활모습’에 대한 Naive Geography”,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1), 1-16.
  12. 김현주, 2019, “’소박한 지리(Naive Geography)’의 실제적 양상과 초등지리교육적 함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남상준, 1999, 지리교육의 탐구, 서울: 교육과학사.
  14. 남상준, 2003, “학교교육과정의 지역적 적합성과 사회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상보적 관계”, 사회과교육연구, 10(1), 1-19.
  15. 남상준, 2010, “지리교육 목적과 학습생태적 관점”, 사회과학교육연구, 12(0), 23-38.
  16. 남호엽, 2005, “지리교육에서 장소학습의 의의와 접근 논리”, 사회과교육, 44(3), 195-210.
  17. 박명화․남상준, 2017, “일상공간에서의 어린이의 장소감: 정서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2), 41-57.
  18. 박승규, 2000, “일상생활에 근거한 지리교과의 재개념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박승규, 2004, “어린이 지리학의 초등 지리교육적 의미”,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2(1), 1-14.
  20. 박승규, 2019, “’지리를 가르친다’는 것의 인문학적 의미”, 대한지리학회지, 54(1), 135-146.
  21. 박승규, 2020, 지리학, 인간과 공간을 말하다, 서울: 책세상.
  22. 배귀선, 2018, “동시의 환상성 연구: 김륭 동시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19(1), 283-318.
  23. 서일교․남상준, 2019, “초등학생들이 생각하는 ‘동네’의 공간적 범위와 모습”,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3), 17-34.
  24. 손유정, 2019, “어린이의 위치인지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7(3), 35-51. 10.17279/jkagee.2019.27.3.35
  25. 신재철, 2013, “행복 지리적 관점에서의 초등사회과 지리교육: 아동의 ‘비밀 장소’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윤정임(2014). “사르트르의 이미지론 - 사르트르 비실재 미학의 이론적 토대: 후설의 수용과 비판”, 유럽사회문화, 13(0), 5-30.
  27. 이수룡․남상준, 2017, “어린이들의 낙서: 장소 길들이기와 장소에 길들기”,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5(1), 19-32.
  28. 이지영․남상준, 2018, “모험놀이 활동과정의 초등지리교육적 함의: ‘공간 만들기’와 ‘장소 찾기’를 중심으로”,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26(1), 17-36.
  29. 이현섭․김상윤․추정선․조선희, 1999, 아동발달심리, 서울: 학지사.
  30. 장혜정, 2007, “일상공간에서의 지리적 자아 형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정혜영, 2012, “어린이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탐구의 의미: Bollnow와 Langeveld를 중심으로”, 교육의 이론과 실천, 17(1), 95-120.
  32. 조수진, 2019, “어린이의 장소 경험 연구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7), 991-1013.
  33. 조철기, 2014, “어린이 및 젊은이 지리에 근거한 지리교육과정 개발 탐색”, 사회과교육, 53(2), 21-34.
  34. 최수아․남상준, 2009, “Mental Map에 드러난 아동들의 생활세계 이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7(3), 259-272. 10.17279/jkagee.2009.17.3.259
  35. 한희경, 2013, “’장소를 촉매로 한’ 치유의 글쓰기와 지리교육적 함의: ‘나를 키운 장소’를 주제로 한 적용사례”, 대한지리학회지, 48(4), 589-607.
  36. Bollnow, O.F., 1963, Mensch und Raum, Stuttgart: Kohlhammer(이기숙 역, 2014, 인간과 공간, 서울: 에코리브르).
  37. Buber, M., 1923, Ich und Du. Schneider(표재명 역, 2014, 나와 너, 서울: 문예출판사)
  38. Dewey, J., 1916, Democracy and Education, New York: Macmillan.
  39. Fincham, B., 2016, The Sociology of Fun, London: Palgrave Macmillan(김기홍․심선향 역, 2020, 재미란 무엇인가, 서울: 팬덤북스). 10.1057/978-1-137-31579-3
  40. Oldenburg, R., 1999, The Great Good Place, NY: Marlowe & Co.(김보영 역, 2019, 제3의 장소, 서울: 풀빛).
  41. Langeveld, M.J., 1960, Die Schule als Weg des Kindes, Braunschweig: Georg Westermann Verlag(정혜영․민혜란 역, 2017, 어린이의 길로서의 학교, 서울: 지식을만드는지식).
  42. Relph, E.C., 1976, Place and Placelessness, London: Pion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역, 2005, 장소와 장소상실, 서울: 논형).
  43. Seamon, D., 1979, A Geography of the Lifeworld: Movement, Rest, and Encounter, NY: St. Martin’s Press.
  44. Tuan, Y.F., 1979, Space and Place: Humanistic Perspective, in Gale, S. and Olsen, G., (Eds), Philosophy in Geography, Dordrecht: D. Reidel. 10.1007/978-94-009-9394-5_19
  45. Wright, J.K. (1947), Terrae Incognitae: The Place of Imagination in Geography,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37, 1-15. 10.1080/00045604709351940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4
  • Pages :1-16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