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4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0 November 2020. pp. 61~71
Abstract
To review research trends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related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 total of 43 published academic thesis and journal articles within the most recent year(2000~2019) were selected and analyzed. It was classified into four following category according to criterion of analysis : research year of publication,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and research content. And then,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below. First, From the year of 2006, 2008, 2010 and 2019, research results had been most frequently found, compared to other years. Second, in relation to the object of research,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d that ration of study about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the highest in the criteria of analysis. Third, in research method, qualitative research was most frequently used method. Fourth, in the research content, it was examined that the most frequently found research wa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study. This findings show how research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for the past 20 years. Therefore, this trends of research propose a future direction for study of marine environmental education.
본 연구는 초·중·고등 해양환경교육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기간으로 한정하여 선정된 해양환경교육과 관련된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 총 43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첫째, 연도별 분석 결과, 2003년 이후 꾸준히 연구가 진행되어왔고, 2006년, 2008년, 2010년, 2019년에 가장 많은 논문이 발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별 분석 결과, 초등학생 대상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교과서/교육과정, 프로그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별 분석 결과, 질적 연구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양적 연구, 혼합 연구 순으로 연구방법이 활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내용별 분석 결과, 가장 많은 연구내용은 프로그램 개발/개발·적용에 관한 것이었다. 다음으로 교과서/교육과정 분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동향 분석은 해양환경교육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여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찾을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References
  1. 강버들・박종운, 2015, “수해양교육 연구 동향 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27(4), 1013-1020.10.13000/JFMSE.2015.27.4.1013
  2. 고운미・김대희, 2001, “국내외 환경교육 연구방법론의 동향과 과제”, 환경교육, 14(2), 142-155.
  3. 권난주・안재홍・정철, 2012, “국내 초등환경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환경교육, 25(1), 1-14.
  4. 김삼곤・김종화, 2004, “수산・해운계 고등학교 교과의 해양환경 내용분석”, 수산해양교육연구, 16(2), 143-155.
  5. 김삼곤・옥미경, 2005, “임해도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의 해양환경에 대한 관심과 개선방안”, 수산해양교육연구, 17 (1), 1-17.
  6. 김정희, 2018, “해양환경 관련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환경감수성 및 해양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과학영재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7. 김종문, 2012, “북미의 해양교육 연구 30년, 그 방법론에 대한 고찰”, 수산해양교육연구, 24(6), 950-962.10.13000/JFMSE.2012.24.6.950
  8. 김종문・윤성규, 2015, “한국해양교육의 정체성과 방향성 탐색”, 과학교육연구지, 39(1), 80-87.10.21796/jse.2015.39.1.80
  9. 김지은・이두곤, 2019, “해양환경교육의 관점에서 해양박물관의 의미”,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65-170.
  10. 김찬국, 2017, “우리나라 지속가능발전교육 연구 동향과 연구방향: 1994~2017년「환경교육」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30(4), 353-377.10.17965/kjee.2017.30.4.353
  11. 류미・김재근, 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반영된 해양환경교육 목표 분석을 통한 학교 밖 해양환경교육의 방향 모색”, 환경교육, 33(1), 1-16.
  12. 류미・김재근, 2019, “도둑게의 유생털이를 위한 이동 특성을 활용한 해양 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환경교육, 32(2), 222-242.10.17965/kjee.2019.32.2.222
  13. 박고은, 2019, “해양 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14. 심정은・이두곤, 2008, “해양환경공학과 환경교육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학의 관점에서”,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지, 11(4), 175-180.
  15. 양명희・이두곤, 2009, “해양환경교육을 위한 탐구중심 환경교육의 관점”,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137-143.
  16. 윤성규・제종길・정수정, 2006, “한국해양환경교육의 역사와 도전”,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143-147.
  17. 윤옥경, 2006, “해양 교육의 중요성과 지리 교육의 역할”, 대한지리학회지, 41(4), 491-506.
  18. 이동호, 2018, “수산해양교육연구 학술지의 연구특성에 대한 내용분석 연구”, 수산해양교육연구, 30(3), 958-967.10.13000/JFMSE.2018.06.30.3.958
  19. 이선경・김희백, 1994, “외국환경교육 연구의 동향”, 환경교육, 6, 199-209.
  20. 이연희, 2017, “국내유아교육 관련 박사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일주・장인영, 2012, “유아교육연구에서 생태교육 관련 용어 통일을 위한 기초연구: 연구 동향 분석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301-321.
  22. 이한민, 2004, “동해안에서의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환경교육 전공 석사학위논문.
  23. 장미정・임수정・전푸름, 2019, “한국 사회환경교육의 발전 과정 :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환경교육, 32(3), 276-303.10.17965/kjee.2019.32.3.276
  24. 장미정・임수정・정철・홍선욱・이종명, 2018. “해양환경소양과 핵심역량에 기초한 초・중학교 해양환경교육 교재 개발”, 환경교육, 31(2), 153-166.10.17965/kjee.2018.31.2.153
  25. 정화성・이정화・정연옥, 2010. “해안지역 초등학생을 위한 해양환경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3, 27-40.
  26. 조형숙・김설한, 2011, “유아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2), 419-445.
  27. 한국환경교육연구소, 2012, “해양환경개발교육원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 연구”, 해양환경개발교육원.
  28. 한나희・이두곤, 2017, “해양환경교육의 개념과 발전 방향”,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99-103.
  29. 허정무・박현진, 2016, “유아 환경교육 관련 연구 경향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96, 101-127.
  30. 홍선욱・이종명・장용창・홍수연・이종수・이미정, 2014. “해양환경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해양수산부・해양환경관리공단・해양환경개발교육원.
  31. 홍순경, 2005, “韓國의 海洋環境敎育 分析과 活性化 方案”, 부산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과학과 석사학위논문.
  32. 황세영・서은정・이리나・홍인영, 2012, “학술지 환경교육 논문분석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연구 동향 고찰”, 환경교육, 25(2), 224-241.
  33. Hansmann, R., 2010, “Sustainability learning”: An introduction to the concept and its motivational aspects, Sustainability, 2(9), 2873-289710.3390/su2092873
  34. Hughes, T. P., Bellwood, D. R., Folke, C., Steneck, R. S., and Wilson, J., 2005, New paradigms for supporting the resilience of marine ecosystem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0(7), 380-386.10.1016/j.tree.2005.03.02216701400
  35. Mayer, V. J., and Fortner, R. W. 1985, Marine and aquatic education. In Lien, J., and Graham, R. (eds.), Marine Parks and Conservation: Challenge and Promise, National and Provincial Parks Association of Canada, St. John’s, NFLD, Cananda, 158-166.
  36. Hughes, T. P., Bellwood, D. R., Folke, C., Steneck, R. S. and Wilson, J. 2005, New paradigms for supporting the resilience of marine ecosystems, Trends in Ecology and Evolution, 20(7), 380-386.10.1016/j.tree.2005.03.02216701400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4
  • Pages :61~71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