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 Issue

2020 Vol.28, Issue 2 Preview Page

Research Article

31 May 2020. pp. 57-71
Abstract
This study is about 『Yeojaechalyo』, a geography textbook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ims to reveal the distribution of geographical knowledge and the genealogy of geographical education in the worl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discovering how the author of this book, Oh Hueng-mook, obtained information on the latest world geography and wrote the world geography section of 『Yeojaechalyo』. First of all, this study found out specific record that Oh Hueng-muk, mostly known as a local official or a literary writer, was an employee served in Park Moon Kuk as an analysis of the diaries and torture of Oh Hueng-muk. In 1886, when Oh Hueng-mook served, the British ‘The Statesman’s Year-Book’ was completed to translate in Chinses, and the publication of the ‘Hanseongzubo’ and the ‘Mankuk Jung Pyo’ in Park Mun Kuk, he would have been able to see various overseas books and collect materials related to the writing of geography. It is also mentioned that the first of the ten-volume series 『Yeojaechalyo』 is related to world geography, and that it referred to the British political almanac in the legend. This is the same book as the original book of ‘Mankuk Jung Pyo’. Thus, this study wanted to identify the distribution process of global geographical information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Yeojaechaly” and the ‘ Mankuk Jung Pyo’. As a result, “The Statesman’s Year-Book” appears to have completed two and three chapters of the first volume, referring to the Chinese in translation of “The Stateman’s Yearbook”, “ManKuk Jung Pho” and maps of various countries around the world.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China was prioritized over Joseon and the emphasis on the imperial family of China, which was different from the “Mankuk Jung Pyo”, we could see the images of intellectuals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who were not completely free from Sinocentrism.
본 연구는 개화기 지리교과서인 『여재촬요』에 대한 것으로, 이 책의 저자 오횡묵이 어떻게 최신 세계 지리에 대한 정보를 확보했으며, 어떠한 책을 참고하여 『여재촬요』의 세계지리 부분을 집필했는지를 밝혀내어, 조선후기 세계 지리 지식의 유통과 지리교육의 계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오횡묵의 일기와 고문헌을 분석한 결과, 주로 지방 관료나 문필가로 알려진 오횡묵이 박문국 주사였다는 구체적인 기록을 찾아내었다. 오횡묵이 근무한 1886년은 박문국에서 영국의 ‘The Statesman’s Yearbook ’의 한문 번역이 완료되었고, 『한성주보』와 『만국정표』를 출판한 시기로, 그는 다양한 해외서적을 직접 보았으며 지리서 집필과 관련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한 10권으로 된『여재촬요』중 제1권이 세계 지리와 관련된 부분인데, 범례에 영국의 『정치연감』을 참고했다고 언급되어있다. 이는『만국정표』의 원전과 같은 책이다. 이에 『여재촬요』와『만국정표』의 비교․분석을 통해 세계지리 정보의 유통과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여재촬요』는 ‘The Statesman’s Yearbook’의 한역본, 『만국정표』, 세계 여러 나라에 대한 지도 등을 참고해서 제1권의 2장과 3장을 완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만국정표』와 달리 중국을 조선보다 우선시한 점, 중국의 황실을 강조한 점 등을 고려했을 때. 중화사상에서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는 개화기 시대의 지식인의 모습을 발견 할 수 있었다.
References
  1. 『만국정표(萬國政表)』
  2.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3. 『여재촬요(輿載撮要)』(1권,10권)
  4. 『자인총쇄록(慈仁叢鎖錄)』
  5. 『한성순보(漢城旬報)』
  6. 강철성, 2009, “사민필지의 내용분석-자연지리를 중심으로”, 한국지형학회지,16(3), 67-75.
  7. 권정화, 2013, “헐버트의 사민필지와 미국 근대 지리교육의 굴절된 투영성”, 사회과학연구연구, 15, 1-15.
  8. 김성윤, 2010, “오횡묵(吳宖默)(1834~?)을 통해서 본 수령 군현통치의 과정과 전략”, 조선시대사학보, 53, 83-140.
  9. 김성혜, 2011. “문헌해제: 『만국정표(萬國政表)』-서울: 박문국 편찬(編撰)”, 1886, 개념과 소통, 7(0), 233-242.
  10. 김재완, 2001, “사민필지에 대한 소고”, 문화역사지리, 13(2), 199-210.
  11. 김현구, 2007, “고성총쇄록 해제”, 고성문화원.
  12. 노대환, 2010, “19세기 조선 외교 정책의 변화”, 조선시대사학보, 53, 141-178.
  13. 남상준, 1993, “한국근대 지리교육의 교육사상적 이해”,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1(1), 3-28.
  14. 박수정, 2008, “『총쇄록(叢쇄錄)』 자료 해제 및 교육적 가치”, 교육사학연구,18(1), 39-58.
  15. 박천홍, 2018, 활자와 근대, 너머북스
  16. 오용원, 2011, “일기(日記)를 통해본 지방관(地方官)의 일상(日常)과 공사(公私)의 경계(境界) -오횡묵(吳宖默)의 『고성총쇄록(固城叢쇄錄)』을 중심으로-”, 남명학, 16, 363-397.
  17. 오승철, 2017, “제5장 근대 개화사상의 발전과 분화에 관한 연구”, 민족사상, 11(2), 141-168.
  18. 이기석, 1969, “사민필지에 관한 일고찰”, 사대학보, 11(1), 66-72.
  19. 이민석, 2018, “1886년 博文局의 『萬國政表』 출간과 세계지리 정보의 유통”, 한국사연구, 166, 227-269.
  20. 이성심, 2017, 조선후기 지방교육 연구, 학위논문(박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1. 이절찬, 2007, 대한제국시대 학부의 도서편찬 및 간행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박사), 상명대
  22. 이헌창, 2004, “개화사상의 대외 인식과 그 대응, 태동고전연구”, 20, 47-123.
  23. 임은진·서태열, 2012, “여재촬요의 세계 지리영역에 대한 고찰”, 사회과교육, 51(4), 181-194.
  24. 장보웅, 1970, “개화기의 지리교육”, 대한지리학회지, 5(1), 41-58.
  25. 전혜경, 2007, 19세기말 우리나라 지리서에 나타난 세계국가지명 비교연구 : 『여재촬요』를 중심으로, 학위논문(석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6. 정진석, 1984, “최초의 근대신문 한성순보”, 언론연구논집, 2(1), 33-62.
  27. 최 준, 1993,「新聞前史的 現象」,『韓國新聞史』, 일조각.
  28. Turner, B. (Ed.)., 2018, The Statesman's Yearbook 2018: The Politics, Cultures and Economies of the World. Springer.
  29. Steinberg, S. H., 1966, Statesman's Year-Book: Martin to Epstein, The Journal of Library History, 1(4), 153–166.
Information
  • Publisher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Publisher(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 Journal Title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Journal Title(Ko)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 Volume : 28
  • No :2
  • Pages :57-71
Journal Informait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 NRF
  • KISTI Current Status
  • KISTI Cited-by
  • KCI 문헌 유사도 검사
  • orcid
  • open access
  • ccl
Journal Informaiton Journal Informaiton - close